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한국인 흑자 인생은 고작 32년… 60세 지나면 다시 '적자'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한국인 흑자 인생은 고작 32년… 60세 지나면 다시 '적자'

입력
2021.11.25 18:00
수정
2021.11.25 18:10
19면
0 0

17세에 적자 폭 가장 크고 44세 흑자 폭 최대
15~64세가 낸 147조 원 노인·어린이에 쓰여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국민이 28세부터 32년간 ‘흑자 인생’을 산 뒤 60세부터는 다시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많은 적자 상태로 돌아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생에서 흑자 폭이 가장 큰 나이는 44세(1,594만 원), 적자가 가장 클 때는 17세(-3,437만 원)였다.

통계청은 25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19년 국민이전계정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연령별 소비와 노동소득, 공적·사적 이전 흐름을 보여주는 통계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생애주기를 보면 0세부터 27세까지는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많은 적자 상태를 유지하다, 28세에 처음 흑자로 돌아선 뒤 60세가 되면 다시 적자 인생을 산다.

적자 폭이 가장 큰 시기는 17세(-3,437만 원)다. 이 나이의 1인당 소비는 3,462만 원에 달한다. 28세에 2,256만 원을 벌어들인 뒤 2,103만 원을 써 처음으로 흑자 인생(153만 원)이 시작된다. 이어 흑자 폭이 가장 큰 44세(1,594만 원)를 거쳐 60세부터는 적자로 돌아선다.

흑자로 돌아서는 시기는 2018년(27세)에 비해 1년 늦춰졌다. 은퇴 연령이 점차 늦어지면서 적자 전환 연령도 2018년 59세에서 2019년 60세로 높아졌다.

은퇴 후 시간이 지날수록 적자 폭은 더 커진다. 적자 인생이 다시 시작되는 60세의 적자 폭은 117만 원인데, 70세가 되면 1,390만 원으로 10배 이상 늘어나고 80세에는 1,827만 원으로 더 커진다.

연령대별 소득·소비·흑자

연령대별 소득·소비·흑자


유년층의 적자는 교육을 위한 소비, 노년층 적자는 의료비 등 보건소비가 큰 몫을 차지한다.

유년층인 0~14세 인구의 총 소비는 147조5,000억 원인데, 이 중 교육소비가 69조9,000억 원으로 전체 소비의 47.4%를 차지한다. 특히 학교를 다니는 6~17세에 공공교육소비가 집중돼 있다. 반면 65세 이상 노년층의 공공소비 63조 원 중에서는 보건소비가 37조 원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노동연령층에서 정부에 낸 세금과 각종 사회보험료는 공공이전 형태로 유년층과 노년층에 쓰인다. 노동연령의 공공이전 순유출은 2018년 133조7,000억 원에서 2019년 147조4,000억 원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유년층에 유입된 공공이전은 71조3,000억 원, 노년층에 유입된 이전은 76조1,000억 원이다.

유년층에 쓰인 돈은 교육(45조7,000억 원) 분야가 절반 이상이고, 노년층에 배분된 공공이전은 보건(29조7,000억 원), 연금(24조9,000억 원) 등에 돌아갔다.

세종 = 박세인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