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쳐야 수도권 넘는다 '초광역협력' <상>
광역자치단체별로 역할 분담 통해 시너지 효과 기대
‘뭉쳐야 산다’는 명제는 수도권을 제외한 다른 모든 권역에도 해당한다. 거대한 플랫폼이 된 수도권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다른 곳과 차별화한 전략산업 육성이 필수다. 이때 필요한 것은 지자체 간의 협업, 즉 행정구역을 넘나드는 초광역 협력이다.
22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부울경의 수소 경제권 외에도 각 권역이 지역 특색에 맞는 미래산업을 선정, 해당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광주전남의 글로벌 에너지 허브 구상. 2030년까지 5대 해상풍력 강국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신안 앞바다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과 맞물린 청사진이다. 전남도가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을 맡고, 광주시는 광주경제자유구역을 통해 단지 설립에 필요한 각종 유·무형의 자재를 공급하는 협력이다. 전남 나주에 위치한 한국전력이 협력사업의 한 축을 맡은 것도 특징이다. 전남은 경남과 부산으로 이어지는 남해안에서 탄성 소재 벨트구축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남과 경남이 원소재와 부품 생산을 맡고, 부산이 연구개발 인프라 구축을 맡는 식이다.
대구·경북 지역은 로봇과 미래차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역할 분담을 통해 한 발씩 나아가고 있다. 산업별로 경북에서 연구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 대구에서는 실증과 테스트를 맡는 식이다. 미래차의 경우, 미래형 그린모빌리티 핵심부품 개발 사업을 경북에서 맡고, 디지털융합산업실증플랫폼 사업을 대구에서 담당한다. 지역 대학과 해당 산업 간 연계를 강화한 '대경혁신인재양성 프로젝트'도 이들 미래산업육성과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
충청은 청주 오송의 생명과학단지를 중심으로 바이오헬스, 과학도시 대전을 내세워 방사광가속기, 탄소중립 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탄소중립 협업의 경우 대전에서 디지털 그린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충북에서 친환경부품 및 제조산업을 육성하는 계획이다. 충남에서 연구개발과 실증을 맡고 세종에서는 미래차를 통해 실증 및 상용화하는 부분을 담당한다. 자율주행 상용화 지구 조성도 충청권 4개 광역지자체가 2030년까지 역할을 나눠 추진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