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가 확대하고 있는 배달서비스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스타벅스 커피를 배달해 먹고 싶어 하는 소비자의 권리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과 대기업이 골목상권까지 들어오면 영세 카페 등 소상공인들이 설 자리가 없어진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붙고 있다.
스타벅스 "소비자가 원해서 배달 서비스 시작했는데..."
1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스타벅스 코리아는 지난해 11월 스타벅스 ‘배달전문점’을 출시한 이후 배달서비스 ‘딜리버스’를 확대하고 있다. 처음에는 배달 전용매장을 운영했지만, 이후에는 일반 매장에서도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스타벅스는 배달 서비스를 지난 10일 수도권 170여 개와 부산 20여 개 매장 등 총 190여 개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12일 기준 서울시내 매장 총 551곳 중 76곳(13.8%)이 ‘딜리버스 가능’ 매장으로 표기됐다.
스타벅스의 배달 서비스는 배달의민족 등 배달플랫폼을 통하지 않는다. 자사 응용소프트웨어(앱)을 통해 접수한 뒤 배달대행서비스 ‘바로고’를 통해 이뤄진다. 딜리버스 매장 반경 1.5km 등 거리 제한이 있으며, 1만5,000원 이상부터 배달이 가능하다. 배달료는 3,000원이다.
스타벅스는 소비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딜리버스’를 운영 중이라는 입장이다. 스타벅스 코리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매장 취식이 어려워지자, 배달해서 집에서 마시고 싶다는 소비자의 의견이 많았다”며 “소비자 수요와 상권 조사 등을 토대로 한정적으로 배달 서비스를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지금도 근처 매장을 '배달 가능 매장'으로 바꿔달라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지방에서도 스타벅스의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다는 취지에서다. 한 소비자는 “배달 서비스 확대를 규제하는 것은 소비자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며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커피를 마시고 싶다”고 말했다.
소상공인 "스타벅스가 골목까지 들어오면 영세 상인들 죽는다"
하지만 소상공인들은 스타벅스의 배달 확대가 골목상권을 위협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고장수 카페사장연합회장은 “스타벅스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비수도권 지역 등에 배달 서비스를 확대하는 이유는 매출이 그만큼 나오기 때문”이라며 “골목 구석구석까지 스타벅스가 들어오면 소상공인들은 죽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스타벅스 배달 서비스 확대로 피해를 호소하는 소상공인도 늘고있다. 서울 관악구 신대방2동에서 카페를 운영 중인 이모(43)씨는 “올해 6월부터 스타벅스 보라매대교점이 배달을 시작했는데, 이후 월 매출이 15%는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소상공인들은 스타벅스에 배달 중지, 추가 출점 금지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스타벅스 측은 “추가 서비스 확대는 없을 예정”이라며 “카페연합회 등과 논의 후 서비스 지역 조정 등 다양한 상생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와 스타벅스, 소상공인단체는 3자 상생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해 조만간 회의를 열기로 한 상태다. 소상공인 단체는 카페를 생계형 또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신청하는 방법도 고심 중이다. 적합업종으로 지정될 경우 대기업 사업 확장이 법적으로 제한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