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기업대출 동월 역대 최고치 증가
상환능력 낮은 중소기업 등에도 집중 대출
금리인상, 이자유예 조치 끝나면 부실위험↑
가계대출이 막히자 돈을 놀리지 않으려는 은행들이 기업대출 규모를 늘리고 있다. 상환 능력이 취약한 중소기업 등에도 은행 돈이 몰리면서 향후 기업대출이 부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금융당국 개입으로 7월 이후 하락 추세가 뚜렷했던 가계대출과 달리, 은행권 기업대출 증가액은 지난달 10조3,000억 원으로 역대 10월 증가액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기업대출은 지난달까지 총 83조 원 가까이 늘어나면서 잔액이 1,059조 원에 달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계대출이 막힌 금융사들이 수익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기업대출을 늘려 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비교적 부실 위험성이 높은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대출이 무섭게 불어나고 있다는 데 있다. 올해 1~10월 은행의 총 기업대출 중 중소기업대출은 무려 92.3%를 차지했다. 지난해 중소기업대출 비중(81.8%)보다 크게 높아진 수치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대출액 증가율에서도 차이가 벌어졌다. 지난해 말 대비 대기업 대출이 3.8% 증가하는 동안, 중기 대출 증가율은 9.5%에 달했다. 특히 자영업자가 포함된 개인사업자 대출은 8.6%나 증가했다.
대출금리가 가파르게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이자보상배율(기업이 벌어들인 돈 중 갚아야 할 이자비용)이 1보다 낮았던 기업 비중은 26% 정도였는데, 이자율이 1%포인트 상승할 경우 이 비중은 30%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기업대출 금리가 3%대까지 치솟은 상황에서 기준금리까지 더 인상될 경우 한계기업이 큰 폭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는 셈이다.
아직까지 은행권 기업대출 건전성은 양호한 편이다. 실제 9월 말 은행권 기업대출은 대기업대출 연체율이 0.28%를,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3%를 각각 기록했다. 하지만 '코로나19 대출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유예 조치'가 내년 3월 종료된다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 전망이다.
김영도 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1실장은 "현재 은행 건전성 지표는 좋지만 이는 착시 효과"라며 "3월 조치 종료 이후 충격이 하반기부터 가시화할 것으로 보이며, 금리 인상 이슈에 코로나19 상황까지 감안해 금융사들의 건전성 관리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