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국내 풍력발전기, 바다 위에 부표처럼 띄운다..."부유식이 풍력발전 대세 될 것"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국내 풍력발전기, 바다 위에 부표처럼 띄운다..."부유식이 풍력발전 대세 될 것"

입력
2021.11.04 04:30
0 0
'동해1 부유식 해상풍력사업' 조감도. 한국석유공사 제공

'동해1 부유식 해상풍력사업' 조감도. 한국석유공사 제공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이 정체된 국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은 발전기를 해저 지반에 밧줄로 고정시켜 수면에 띄우는 형태로, 해외에서도 경쟁력이 입증된 방식이다. '재생에너지 3020' 정책에 따라 2030년까지 달성키로 한 국내 풍력발전 보급량의 절반 이상을 부유식으로 채워질 것이란 게 업계 안팎의 전망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울산시는 지난 1일 울산 국가산업단지에 총 1,757억 원을 투입해 부유식 해상풍력 연구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2018년 사업에 착수한 울산시는 2030년까지 울주군 온산항에서 58㎞ 떨어진 동해가스전에 세계 최대 규모인 총 6기가와트(GW)의 부유식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5월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비전’ 선포식에 직접 참석하기도 했다. 현재 해당 사업은 ‘동해1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이란 명목 하에, 한국석유공사와 동서발전, 노르웨이 에너지기업인 에퀴노르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 5월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 사업성도 인정받았다.

현재 국내 풍력발전 보급은 정체된 상태다. 국내 풍력발전이 산을 벌목하고 짓는 육상 풍력발전과 해저에 기둥을 박아 짓는 고정식 풍력발전 위주이다 보니 환경 훼손에 대한 반발로 건설 과정이 상당히 지연되고 있어서다. 국내에서 풍력 건설의 인허가 과정은 덴마크(3년), 유럽연합(3년 6개월) 등에 비해 약 2배인 6년 정도가 걸린다. 이 때문에 국내 풍력발전의 현재 누적 보급량은 1.6GW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20%를 달성하는 재생에너지 3020 정책 목표량(12GW)의 10% 에 불과하다.

시각물_풍력발전-방식에-따른-장ㆍ단점-비교

시각물_풍력발전-방식에-따른-장ㆍ단점-비교


이런 상황에서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은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란 장밋빛 전망도 제기된다. 해저 지반에 닻과 쇠줄로 연결된 부유체 위에 발전타워를 세우는 부유식은 해양 오염에 대한 우려가 적고, 수심 50m 이상의 먼바다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덕분에 해안 경관의 훼손이 없고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미미하다. 여기에 풍력발전의 효율이 높기 위해선 연중 평균 초속 8m 이상의 바람이 불어야 하는데, 이런 지역은 대부분 수심 50m 이상의 먼바다 지역에 위치한다. 풍력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 해상풍력자원의 90%가 수싶이 깊은 먼바다에 있는 것”이라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상용화가 반드시 필요한 이유”라고 전했다. 실제 울산시가 2030년까지 건설한다는 6G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단지는 3020 재생에너지 목표량의 절반에 달한다.

해외에서도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을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영국은 세계 최초의 부유식 해상풍력단지를 운영 중이고, 미국도 2025년까지 하와이를 신재생에너지 100% 사용 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부유식 해상풍력단지를 마련할 계획이다. 하지만 업계에선 우리나라가 후발주자임에도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에서 가장 큰 경쟁력을 갖췄다고 평가한다. 국내 대형 조선사들이 해외 해양 석유시추 사업을 수주하면서 다양한 기술 및 건조 경험을 축적해왔는데, 이런 기술들이 부유식 풍력발전 기술 개발에 즉시 적용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부유식 풍력발전을 하기에 기술 및 고급 인력과 같은 인프라를 이미 잘 갖추고 있다”면서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이 다른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산 단가가 비싸긴 하지만 발전단지 대형화로 이것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우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