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유구한 역사를 지녔다. 그 시간이 5,000년을 넘었다. 앞선 고조선 시대를 지나 한반도에 뿌리내린 시기는 고구려를 시작으로 성립된 고대 국가들이다. 국회는 고대 국가 시대의 고유한 역사와 문명의 가치를 오늘날에 활용·확산하기 위해 지난해 '역사문화권정비에 관한 특별법(이하 역사문화권정비법)'을 제정하여, 올해 6월부터 시행 중이다.
역사문화권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마한, 탐라이다. 최근 '후백제권'을 역사문화권에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지만, 이 법의 정의에 따라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발전시켜 온 권역으로 현재 문헌 기록과 유적·유물을 통해 밝혀진 권역"이라는 정의에 부합하는지 등을 따져볼 일이다.
역사문화권정비법은 점(點)단위의 문화재보호 정책에서 면(面)단위의 역사문화자산으로 정책 전환을 의미한다. 보호는 근본으로 하되 고유한 역사 문명, 시대와 사람의 이야기를 담은 문화자산으로 활용하고 가치를 확산하여 지역의 발전에 기여하자는 것이다.
현재 역사문화권 사업이 활발한 곳은 가야권과 마한권이다. 경남도를 중심으로 한 가야권은 공동발전을 위해 영호남 광역단체 5곳과 기초단체 26곳이 참여한 협의회를 구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마한권역은 전남도를 중심으로 11곳의 기초단체가 업무협약을 맺고 공동발전을 꾀하고 있다.
역사문화권정비법의 정의에 따르면 백제권역은 현재 9곳의 광역단체와 60곳의 기초단체에 백제의 유적과 유물이 소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광범위한 지역을 망라하고 있다. 이는 백제가 3차례 천도와 삼한으로 세력을 확장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고대 백제의 역사와 문명을 주목하는 이유는 백제는 중국과 일본뿐만 아니라 서역을 거쳐 페르시아와 서남아시아 길을 따라 교역하면서 다른 문화를 수용하고 융복합하면서 독창적인 문명을 창출했다는 점이다. '백제'는 세력 간 협력하고, 다름을 수용하고 나아가 융합하였다는 점에서 분단 고착화와 사회갈등이 증가하는 오늘날의 현실을 돌아보고 해법을 찾게 한다. 이의 바탕은 무력이 아닌 교역과 외교적 수단이라는 점에서 현재를 사는 대한민국이 나아갈 방향과 부합하다.
2019년 충남 부여군과 서울시가 중심이 되어 '백제포럼(100JE 포럼)'이 개최되었지만, 참여 지자체가 제한적이었다. 내달 18일 국립부여박물관에서 개최되는 '100JE 포럼'은 역사문화권정비법 시행을 바탕으로 백제권 도시들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백제권 지방 도시가 상호 협력하여 잃었거나, 잊고 있거나 숨겨진 백제의 문명을 재조명하고 미래의 길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