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국민 통증 케어 '파스', 다 같지 않아요… 올바른 사용법은?

입력
2021.10.25 18:40
0면
0 0

[알기 쉬운 식품ㆍ의료제품 이야기] 손경훈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첨단의약품품질심사과장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발목이나 허리를 삐끗하면 파스를 찾게 된다. 파스류는 부직포, 면포 등에 약효성분을 발라 피부에서 통증 부위로 약물을 전달하는 붙이는 의약품이다.

어릴 때 종기 치료를 위해 붙이던 고약(경고제 제형)도 파스류의 일종이다. 파스처럼 붙이는 의약품은 용도에 따라 카타플라스마제, 첩부제(플라스타), 패치제 등 다양한 종류로 구분된다.

카타플라스마제와 첩부제는 일반적으로 소염 진통 목적으로 국소 부위에 붙인다. 카타플라스마제는 주성분이 함유된 습포제, 이를 붙이는 점착포로 구성돼 있어 허리나 등 같은 넓은 부위에 붙여 통증을 줄이는 데 쓰인다.

첩부제는 함유된 혼합물이 점착 필름에 발라져 그 자체로 피부에 붙여 사용할 수 있고, 동전 모양이나 롤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관절처럼 붙이기 어려운 부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패치제는 약물이 피부를 통과해 온몸으로 순환되도록 설계된 것으로, 약물이 서서히 방출돼 며칠 동안 효과가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의약품으로 귀밑에 붙이는 멀미약도 있고, 전문의약품으로 만성 통증이나 천식 치료에 사용되는 것도 있다.

패치제는 먹는 약으로 인한 위장 장애나 복용 시간 준수 등의 불편한 점을 극복할 수 있어 장기 복용이 필요한 질환군에 적합한 제형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복약 시간을 기억하기 어렵거나 먹는 약을 삼키기 힘든 환자에게도 손쉽게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붙이는 의약품도 제형에 따라 올바른 사용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파스나 패치제는 붙이는 부위를 깨끗하게 하고 상처 등으로 손상되지 않은 부위에 붙여야 한다. 같은 부위에 계속 붙이면 가려움증ㆍ발진 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패치제는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가 많은데 같은 곳에 연속해서 사용하지 말고 권장 부위 내에서 조금씩 위치를 바꿔 붙여야 한다. 또한 패치제는 약물을 담고 있는 막에 일정한 속도로 약물이 방출하도록 개발된 제품이 많아 임의로 자르거나 변형하지 말아야 한다.

최근에는 미세 바늘이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패치’ 개발도 한창이다. 앞으로도 주사제나 먹는 약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한 환자를 위해 신기술 패치제가 많이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손경훈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첨단의약품품질심사과장

손경훈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첨단의약품품질심사과장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