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까지 전국의 모든 어린이통학차량이 무공해차(전기·수소차)로 바뀐다. 차량 배출가스로부터 어린이 건강을 보호하고, 아이들이 기후위기 대응을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현재는 어린이통학차량 8만3,000여 대 중 88%가 경유차이고, 전기차는 11대에 불과하다.
환경부는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8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어린이통학차량 무공해차 전환 추진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2015년 이전에 제작된 통학 차량 4만5,000대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교체하는 걸 목표로 삼았다. 구체적으로 △내년부터 2024년까지 2010년 이전 제작 차량 7,000대 △2027년까지 2011~2013년 제작 차량 1만8,000대 △2030년까지 2014~2015년도 차량 2만 대다. 무공해차 사용에 탄력이 붙으면 2030년부터 2035년까지 2016년 이후 제작 차량 3만8,000대 교체가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국공립 유치원?초등학교에서 운영하는 2010년 이전 제작된 차량 300대를 무공해차로 시범 전환한다. 전체 국공립시설 노후 통학 차량(1,023대) 의 30%에 해당한다. 환경부·교육부는 다음 달까지 수요 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지자체별로 구매보조금을 할당하고, 시설 내 전용 충전시설 설치를 지원할 계획이다. 무공해 통학 차량을 판매한 자동차 제조·판매사에는 무공해차 보급목표제 가산점을 준다. 무공해차 보급목표제는 자동차 업체가 일정 비율의 저공해차를 판매하도록 한 제도다.
공공기관 무공해차 의무구매제 대상에도 어린이 교육시설을 포함키로 했다. 정부는 국공립시설부터 무공해 통학 차량 구매와 임차를 의무화할 계획이다.
2023년에는 어린이 통학용 차량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15인승 규모 전기·수소 버스 차종이 출시된다. 환경부는 “같은 해 4월부터 대기관리권역 내 경유를 사용하는 어린이통학차량 신규 등록이 제한되는 만큼 보급이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