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동탄 등 지역에 우선 도입 방침?
유럽과 동남아 등 해외 수출 판로 개척도
이르면 2년 후 국내에서도 출·퇴근길에 수소를 동력으로 한 수소트램(기차) 이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까지 총 사업비 423억 원을 투자, 수소트램 상용화를 골자로 한 ‘수소전기트램실증사업’에 착수한다고 23일 밝혔다. 산업부에 따르면 전철의 대안으로 떠오른 수소트램은 수소연료전지로 전력을 공급해 대기오염 물질이나 온실가스 등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교통수단이다. 전철과 달리 외부에서 동력을 공급하는 인프라가 필요 없다는 점에서 건설비도 저렴하다. 특히 주행거리가 길수록 고중량·고가의 배터리가 필요한 전기트램보다 주행거리가 길고 주행 빈도가 잦을 경우 효율성도 우수하단 점에서 긍정적이다.
정부는 글로벌 수소트램 시장에 아직 뚜렷한 선도기업이 없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 실증사업 추진을 통해 글로벌 수소트램 시장 선점도 노리겠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수소트램은 수소자동차보다 뛰어난 내구성이 필요하단 점에서 높은 기술력을 요구한다. 정부는 국내 기업의 수소차 기술력과 경험을 활용하면 단기간에 수소트램의 상용화는 물론 글로벌 친환경 열차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글로벌 수소트램 시장은 2025년 7,000억 원 규모에서 2030년 4조 원으로 급팽창할 전망이다.
정부의 이번 실증사업 목표는 이달부터 2023년 말까지 4대 핵심기술 확보에 있다. 넥쏘용 수소연료전지 4개에 해당하는 380킬로와트(㎾)급 수소트램 상용화를 위해서다. 기술 분야별로 살펴보면 '수소트램 시스템 통합·검증기술' 분야는 철도전문기업인 현대로템이, '수소트램 전용 수소연료전지 및 요소부품기술' 부문은 한국자동차연구원이 각각 주관한다. 또한 ‘수소트램 실주행 환경 실증 및 운영기술' 영역은 울산TP가 맡는다. 울산TP는 내년까지 수소트램용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2023년부터 울산시 유휴선로에서 누적 2,500㎞ 이상 주행하면서 연비 등을 고려한 최적의 주행 패턴을 검증할 예정이다.
정부에선 사업이 종료되는 2024년부터 수소트램 양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예상대로 사업이 진행될 경우, 국내에선 울산과 동탄 등 신규 도시철도사업 계획이 있는 지역에 수소트램을 우선 적용할 방침이다. 이후엔 유럽과 동남아 등 트램 수요가 있는 국가를 중심으로 해외 판로도 개척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수소차 기술을 다른 업종에 성공적으로 적용하는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며 “수송 분야에서 수소 모빌리티 상용화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