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취임 후 첫 유엔 총회 연설에서 최우선 과제인 ‘중국 견제’뿐 아니라, 북한 문제에 대한 언급도 잊지 않았다.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미국이 진지한 외교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한 뒤, 북한을 직접 거명하며 ‘구체적 진전(concrete progress)’을 모색 중이라고 밝힌 것이다. 딱 두 문장에 그치긴 했으나,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해 ‘외교’를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6차 유엔 총회에 참석해 북한 및 한반도 현안과 관련,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진하기 위해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를 모색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한반도와 역내의 안정을 증진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들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실질적인 약속의 실행 가능한 계획을 향해 ‘구체적인 진전’을 모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이란의 핵무기 확보 저지와 이란 핵합의 준수 문제를 언급한 뒤 나왔다. 이란 문제와 마찬가지 논리로, 북한 문제에 대한 미국의 원칙론과 외교적 해결 의지를 거듭 강조한 셈이다.
특히 북한이 지난 11, 12일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 15일 탄도미사일을 잇따라 시험 발사하며 긴장 수위를 높였는데도 바이든 대통령은 이 사안을 따로 거론하지 않았다. 북한의 무력 도발에도 불구, 이를 무시하는 동시에 ‘미국은 대화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다만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위한 구체적 제안이나 진전된 방안을 내놓지는 않았다. ‘구체적 진전’이라는 표현도 북미 비핵화 협상 시 미국 측 양보안보다는, 한미가 준비 중인 대북 인도적 지원 추진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북한이 호응하지 않을 경우 바이든 대통령의 유엔 총회 연설이 북미 협상 재개의 돌파구를 위한 특별한 전기가 되기는 어렵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북한에 대한 ‘간접 메시지’로 해석될 만한 발언도 주목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미국의 군사력 사용은 마지막으로 의지하는 수단이 돼야 하지, 처음이 되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국제 사회의 각종 현안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무력 충돌보다는 외교 및 대화를 추진하겠다는 뜻이다. 북한은 물론 특정 국가를 직접 겨냥하지 않은 데다, 일차적으로는 중국이나 러시아의 도전에 대한 미국의 기본적 대응 방향을 천명한 것으로 보이지만 이 역시 북한을 상대로 다시 한 번 대화를 촉구한 언급으로 해석될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