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인간 제물' 신라인 인골 추가로 발견...키 135㎝ 체격 왜소한 여성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인간 제물' 신라인 인골 추가로 발견...키 135㎝ 체격 왜소한 여성

입력
2021.09.07 16:56
2면
0 0

월성 성벽 축조 당시 제물로 쓰인 듯

경주 월성 성벽에서 올해 추가로 발견된 20대 성인 여성의 인골. 유리구슬을 엮은 목걸이, 팔찌를 착용한 채로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경주 월성 성벽에서 올해 추가로 발견된 20대 성인 여성의 인골. 유리구슬을 엮은 목걸이, 팔찌를 착용한 채로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신라 왕성인 경주 월성 성벽에서 제물로 바쳐진 사람의 뼈가 또 발견됐다. 신라인들이 성벽을 쌓을 때 사람을 제물로 썼다는 ‘인신공희(人身供犧)’설을 더욱 명확히 하는 발견이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2017년 성벽에서의 인신공희로는 국내 첫 사례로 알려져 화제를 모았던 50대 남녀 인골 2구가 발견된 월성 서성벽 문지(門址·문터)에서 최근 희생물로 쓰인 20대 여성 인골 1구와 동물 뼈, 토기 등을 추가로 발굴했다고 7일 밝혔다.

문이 있던 터 인근에서 발견된 인골과 동물 뼈의 위치.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문이 있던 터 인근에서 발견된 인골과 동물 뼈의 위치.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이번에 확인된 여성 인골은 키가 약 135㎝ 전후로 체격이 왜소했고, 굽은옥 모양의 유리구슬을 엮은 목걸이와 팔찌를 착용했다. 왼손 손가락 사이에서 복숭아씨 한 점이 나왔고, 머리맡에서는 토기 2점이 포개진 채로 확인됐다. 동물 뼈는 말이나 소 등 큰 포유류로 추정되고 늑골 부위만 골라 제물로 바쳐진 것으로 보인다.

조사단은 인골 3구의 치아와 골격을 살펴볼 때 영양상태가 좋지 않고 고급 유물이 존재하지 않아 신분이 낮은 이들이 희생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2017년 발견된 50대 남녀 인골.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2017년 발견된 50대 남녀 인골.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장기명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온라인으로 이뤄진 기자간담회에서 "성벽의 중심 골조 가장자리에 맞춰 평행하게 시신을 둔 점이나 문지 근처라는 위치를 볼 때 계획적으로 인신 제사가 이뤄졌다고 할 수 있다"며 "성벽이 무너지지 않기를 기원하거나 문의 기운을 잡기 위해 제의를 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2017년에 이어 제물로 희생된 시신이 발견되자 학계에선 월성에서의 인신공희 규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연구소는 2016년 같은 장소에서 찾은 5세 전후 유아 인골도 제물로 묻혔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번 지점으로부터 북서쪽으로 1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지난 1985년과 1990년 출처 불명의 인골 20구 이상이 확인된 바 있다. 장기명 학예연구사는 “20구의 인골의 경우 흐트러진 채로 동물 뼈 등과 섞인 게 많고, 당시의 출토정황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아 인신공희로 단정하긴 어렵다”면서도 “출토층을 봤을 때 성벽 축조 과정에서 들어간 건 확실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월성 성벽 인신공희는 국내에서 발견된 첫 사례로, 제방을 쌓거나 건물을 올릴 때 주춧돌 아래에 사람을 묻으면 무너지지 않는다는 인주(人柱)설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발굴 조사를 통해 월성의 정확한 축성 시기와 과정을 파악한 것도 성과다. 월성 서성벽은 4세기 중엽부터 쌓기 시작해 5세기 초에 이르러 완공된 것으로 확인됐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월성이 파사왕 22년(101년)에 축조된 것으로 나오는데, 실제로는 이보다 250년가량 늦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출토된 유물의 전수 조사와 가속질량분석기 연대 분석(목재, 유기물질 등의 탄소를 측정, 과거 연대를 검출하는 방법)을 토대로 측정한 것이다.

토목공학적으로 다양한 축성 기술이 집약된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초부 공사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나무 말목을 박은 지정공법과 목재, 식물류를 층층이 깐 부엽공법 등이 사용됐고, 성벽 몸체를 만드는 체성부 공사에서는 볏짚, 점토 덩어리, 건물 벽체 등을 사용, 높고 거대하게 만드는 토목 기술이 활용된 것으로 나왔다.

심광주 토지주택박물관 관장은 “고구려, 백제, 신라 중 신라가 가장 견고하게 높은 성을 쌓았다”며 “이번 월성 발굴은 신라 토목 기술의 실체가 무엇인지 알려줬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채지선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