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 군대에도 ‘드론(무인항공기) 수송병’과 ‘로봇 조리병’이 등장할 전망이다. 정부가 상용드론의 군 도입을 촉진하고, 취사병들이 힘들어했던 튀김이나 탕, 밥 짓기에 로봇 투입 방침을 정하면서다. 현재는 계획 단계이지만, 현실화될 경우엔 군의 과학 역량이 높아지고 국내 첨단산업 생태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국방부와 함께 개최한 제8회 방위산업발전협의회에서 이런 내용의 ‘국방 드론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에 따르면 국방부는 내년 상용드론 구매에 375억 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이는 올해 투입된 62억 원보다 6배 증가한 규모다. ‘상용 드론의 군 소요 로드맵’ 수립은 연내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국방부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육군 31사단을 ‘상용드론 실증사업 테스트 베드 전담부대’로 선정, 다른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 중인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앞서 광주광역시는 산업부와 수소연료전지 기반의 탑재중량 200㎏급 카고드론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산업부의 10㎏ 드론배송 실증사업 등도 이번 정책에 포함될 전망이다.
방위사업청은 또 “‘한국산 우선획득 제도’ 도입방안을 통해 국산무기 중심의 첨단전력 증강을 위해 국내 연구개발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면서 “방위력 개선비로 추진되는 전체 사업 중에서 국내 지출이 80% 이상으로 확대되도록 ‘지출목표 관리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로봇 활용 표준공정모델을 군 급식분야 등에 적용, 향후 장병들의 취사공간 모습도 혁신적으로 바뀔 조짐이다. 당장 데이고, 다치는 일이 많았던 조리병의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고온에서 조리되는 튀김, 볶음, 국·탕, 밥 짓기 과정에서 로봇 활용 표준 모델이 개발된다. 정부는 일단 로봇 활용 표준 모델을 개발하고 연내 논산 육군훈련소 28연대 식당에 시범적으로 보급할 방침이다.
튀김 작업을 예로 들면, 취사병이 했던 조리 사전 작업(예열 및 원재료 준비)→재료 투입→유탕→탈유→냉각, 소분·계량→배식 단계 가운데 재료 투입 단계부터 소분·계량 단계를 로봇이 맡게 된다. 밥을 지을 때도 현재의 원곡 이동 및 투입→자동 세미→계량→계수→적재 및 취반기 투입 단계 중 원곡 이송 정도만 사람이 하고, 대부분의 작업을 로봇이 대체하게 된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오늘의 논의들이 민군협력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로봇, 드론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기술을 국방에 적극 도입해 군의 과학 역량을 높이고 유관 부처와 협업을 확대해 신기술 개발과 민간산업 발전에도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