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금리 인상" 예고한 한은
가계빚, 물가 상승 압박에 몰려
코로나에 경기둔화 우려도 여전
시장선 "8월 인상" 전망 지배적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해 온 한국은행의 어깨가 무거워지고 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이달 금융통화위원회가 다가올수록 금리 결정에 영향을 주는 갖가지 변수들이 계속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상치 못한 코로나19 4차 확산세가 금리 인상 단행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라면, 고삐 풀린 가계부채와 고공행진하는 물가는 금리 인상 압력을 높이고 있다.
한은의 결정이 하반기 경제 회복 속도와 가계대출 증가폭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금리 인상이라는 고차방적식을 앞둔 한은의 고민은 나날이 깊어지고 있다.
가계빚에 인플레까지 금리 인상 '압박'
4일 한은과 금융권 등에 따르면 현재까지 기준금리를 연내 올리겠다는 한국은행의 의지는 강하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5월 연내 인상을 처음 시사한 이후 수차례 걸쳐 "(기준금리 인상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당연한 일"이라고 강조해 왔다.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직후엔 "다음 회의 때부터 관련 논의를 검토할 예정"이라며 아예 '8월(26일 예정)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까지 내놨다.
애초 한은이 가장 우려한 건 초저금리의 힘으로 불어난 가계부채였다. 1,765조 원(올해 1분기 기준)에 달하는 가계빚과 '빚투(빚내서 투자)'가 밀어 올린 과열된 자산가격으로 인한 '금융 불균형'이 한국 경제의 시한폭탄이라고 보고, 올해 초부터 금리 인상에 시동을 걸어왔다. 한은 통화정책의 목표 중 하나인 '물가 안정'에 대해선 "현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인 현상"이라며 급한 불은 아니란 입장이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심상치 않은 물가상승 압력은 금리 인상을 부채질하는 또 다른 변수가 됐다. 전날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2.6% 오르며, 9년 1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찍었던 올 5월(2.6%)에 이어 또다시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은으로서도 기준금리를 올려 기대인플레이션을 낮추고 실제 물가 상승률을 끌어내리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경기 회복 찬물 뿌릴라... 한은의 깊어진 고민
문제는 악화일로에 있는 코로나 재확산세다. 당장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으로 민간소비가 얼어붙을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한은이 기준금리까지 올릴 경우 경기회복에 찬물을 뿌릴 가능성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시장에서도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 등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이날 "한은이 8월 26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도 "8월 중 코로나 재확산세가 심해져 실물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커지면 10월, 11월로 늦춰질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7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 '소수의견'을 낸 고승범 위원 외에 다른 네 명 위원(총 7명 중)도 "가까운 시점"에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주장한 만큼, 금리를 올릴 시점이 머지않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외국계 투자은행(IB)인 JP모건은 아예 "8월을 시작으로 올해 2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인호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기업도 금리가 오르면 금융비용이 커져 투자를 줄일 수 있고, 이는 경기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이를 간과하기 힘든 중앙은행으로선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