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상상과 해학 '탐나라공화국' vs 마음까지 정갈한 '생각하는정원'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상상과 해학 '탐나라공화국' vs 마음까지 정갈한 '생각하는정원'

입력
2021.07.13 17:00
21면
0 0

자연 반, 인공 반... 닮은 듯 판이한 2개의 제주 정원

탐나라공화국 언덕에 하얀 소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속아 넘어간다'는 말을 유머로 형상화했다. 해학과 상상력으로 가꿔 가는 정원이다.

탐나라공화국 언덕에 하얀 소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속아 넘어간다'는 말을 유머로 형상화했다. 해학과 상상력으로 가꿔 가는 정원이다.

제주 서부지역에 닮은 듯 다른 2개의 정원이 있다. 한림읍의 ‘탐나라공화국’과 한경면의 ‘생각하는정원’이다. 자연에 인간의 손길을 가미했다는 점만 빼면 두 정원은 분위기가 완전히 판이하다. 탐나라공화국이 즉흥적이라면, 생각하는정원은 치밀하다.

먼저 탐나라공화국, 이름부터 심상치 않다. 남이섬을 ‘나미나라공화국’으로 꾸민 강우현(68) 대표가 8년간 땅을 파고 돌을 골라 개국(?)했다. 지난 4월 문을 열었지만 공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어디를 어떻게 꾸밀지는 땅을 파고 돌을 들어내 봐야 결정된다. 즉흥성이 가미된 무한한 상상력이 탐나라공화국의 최대 매력이다.

탐나라공화국의 당일 비자. 입국 도장을 찍고 입장한다.

탐나라공화국의 당일 비자. 입국 도장을 찍고 입장한다.


탐나라공화국 기념품 가게의 조형물. 제주 현무암의 표면을 확대하면 보일 것이라는 상상력으로 만든 작품이다.

탐나라공화국 기념품 가게의 조형물. 제주 현무암의 표면을 확대하면 보일 것이라는 상상력으로 만든 작품이다.

공화국으로 들어서면 ‘면세(Duty Free)’ 대신 ‘의무(Duty)’가 부과된다. 반듯한 돌에 ‘모든 방문객은 심고 가꾸고 쌓고 닦고 만들고 나누고 함께해야 합니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보세구역(기념품점)에서는 공사 과정에서 나온 현무암을 녹이고 화산송이(붉은 빛깔의 화산 부스러기)를 가미해 만든 예술품을 판매한다. 한쪽 벽면을 장식한 커다란 작품은 현무암 표면을 무한 확대하면 보이는 풍경이라 설명한다. 제주의 온갖 생명체가 담겨 있다.

입국 비자(당일 1만 원ㆍ3년 3만 원)에 도장을 찍으면 드디어 탐나라공화국으로 들어간다. 황금연못을 지나 좁은 길을 따라가면 노자처럼 살고 싶은 공간이라는 ‘노인정’이 나타난다. 하늘과 땅, 유와 무 등의 글씨를 보면 잠시 선계에 발을 들인 건가 싶은데, 노자서원은 노출 콘크리트 현대식 건물이다. 벽면에 빈틈없이 책이 빼곡한 책방이자 쉼터다. 미로 같은 길은 용굴못, 마그마캐니언, 천일합일문, 인어마을, 인당수, 천풍토성 등으로 이어진다.

노자서당으로 가는 산책로의 조형물. 빗물을 담은 돌에 유무, 천지 등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

노자서당으로 가는 산책로의 조형물. 빗물을 담은 돌에 유무, 천지 등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


탐나라공화국의 탐방로. 땅을 파서 나온 돌을 이용해 해학적인 작품으로 쌓고 조각했다.

탐나라공화국의 탐방로. 땅을 파서 나온 돌을 이용해 해학적인 작품으로 쌓고 조각했다.


탐나라공화국의 천인합일문. 돌담 모양을 뒤편의 당오름 능선과 맞췄다.

탐나라공화국의 천인합일문. 돌담 모양을 뒤편의 당오름 능선과 맞췄다.


탐나라공화국의 탐방로를 장식하고 있는 조각. 남이섬에서 운영하던 폐선박 바닥을 재료로 활용했다.

탐나라공화국의 탐방로를 장식하고 있는 조각. 남이섬에서 운영하던 폐선박 바닥을 재료로 활용했다.

종잡을 수 없고 예측하기 어렵지만, 이 공화국이 지향하는 바는 어렴풋이 감지된다. 홈페이지 첫 장을 장식한 문구처럼 ‘있는 데로 써먹고, 가진 대로 살아간다’는 정신이다. 여기에 자연과의 조화, 해학을 가미했다. 기부받은 2002년 월드컵 축구공 도자기는 호롱궁 벽면을 장식하고, 납품이 무산된 범종은 용굴산 구석에 설치됐다. 물길을 만들다 드러난 협곡은 그랜드캐니언의 축소판이 되고, 땅을 파다 발견된 용암숨골은 고기를 굽는 연회장으로 변신했다. 천인합일문 문턱에 앉으면 비스듬하게 쌓은 돌담이 뒤편 당오름의 능선과 연결된다.

하얀 소 한 마리가 풀을 뜯고 있는 언덕 위에 돌탑이 세워져 있다. 하단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실제는 거울을 설치해 맞은편 하늘이 담긴다. 소가 넘어가는 이 언덕에서 모두들 ‘속아 넘어간다.’ 인당수로 가는 ‘영천은하수길’은 지역과 업무를 협의한 산물이다. 헌책도서관은 마무리 공사가 진행 중이고, 공개되지 않은 산자락에선 아직 굴삭기가 작업 중이다. 매시 정각 출발하는 스토리투어에 참가하면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생각하는정원은 분재와 돌탑, 연못과 폭포 등이 빈틈없이 치밀하게 짜여진 정원이다.

생각하는정원은 분재와 돌탑, 연못과 폭포 등이 빈틈없이 치밀하게 짜여진 정원이다.


생각하는정원의 '생각하는 하르방' 조각. 반세기 동안 나무를 가꾼 성범영 원장의 철학이 녹아 있는 정원이다.

생각하는정원의 '생각하는 하르방' 조각. 반세기 동안 나무를 가꾼 성범영 원장의 철학이 녹아 있는 정원이다.

이곳에서 약 12㎞ 떨어진 생각하는정원은 한 치의 오차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듯 치밀한 정원이다. 반세기 동안 가시덤불로 덮인 자갈밭을 개간하고 나무를 가꾼 성범영(82) 원장의 땀과 정성이 밴 공간이다. 1992년 분재예술원으로 개원해 2004년 생각하는정원으로 명칭을 바꿨다.

나무를 만지는 일이 연애요, 노동이요, 생각이라는 성 원장은 자신의 책에서 '정원의 생명은 좁쌀만 한 새순을 틔우고 조그만 꽃봉오리를 벌리기 위해 몇 계절을 준비하고 계획을 세운다’고 썼다. 부지런한 사람만 정원을 가꿀 수 있다는 말이지만, 최종적인 성패는 자연의 섭리가 결정한다. 나무가 가르쳐준 지혜다.

정문으로 들어서면 정갈하게 기른 분재가 그만큼 깔끔한 산책로를 따라 이어진다. 짧게는 10년 길게는 30년도 넘게 걸려 완성한 작품이다. 일부 나무는 직접 발아시켜 키웠다. 동양화에나 등장할 법한 소나무, 하얀 줄기가 멋들어지게 휘어진 주목, 돌을 껴안은 느릅나무 등 분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어느 것 하나 그냥 지나치기 힘들다. 정원을 구성하는 돌탑과 돌담, 연못과 폭포도 군더더기 없이 반듯하고 가지런하다.

생각하는정원의 소나무 분재. 일부는 직접 싹을 틔워 길렀다.

생각하는정원의 소나무 분재. 일부는 직접 싹을 틔워 길렀다.


생각하는정원에는 온갖 종류의 분재가 있다. 세심하게 나무를 가꾼 것만큼 정갈한 정원이다.

생각하는정원에는 온갖 종류의 분재가 있다. 세심하게 나무를 가꾼 것만큼 정갈한 정원이다.


성범영 생각하는정원 원장. 분재는 일본 문화가 아니라, 나무 본래의 모습을 돋보이게 하는 예술이라는 게 그의 지론이다.

성범영 생각하는정원 원장. 분재는 일본 문화가 아니라, 나무 본래의 모습을 돋보이게 하는 예술이라는 게 그의 지론이다.


수형을 교정하는 과정이 ‘나무를 괴롭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하는 이들이 많은 모양이다. 성 원장은 “건강한 사람이 아름답듯 건강한 나무가 아름답다”고 답한다. 괴롭히기만 한다면 나무가 살아 있겠느냐는 반문이다. 분재는 각각의 나무가 지닌 본래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는 예술이라는 게 그의 지론이다. 이를테면 생각하는정원은 나무가 주는 지혜와 그로부터 깨달은 철학을 담은 정원이다.

최흥수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