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월 중 2금융권 가계대출 17.8조↑
은행 가계대출 고삐 조이자 2금융권 '풍선효과'
카드사는 최저금리 낮추며 출혈경쟁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로 은행권 가계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상호금융이나 보험, 카드사 등 제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2금융권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상대적으로 느슨한 만큼 차주들에게 '마지막 영끌' 기회로 인지되고 있다. 대출 수요가 급증하자 카드사들은 고신용 차주를 고객으로 유치하기 위해 대출 금리 인하 경쟁을 벌이고 있다.
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 사이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17조8,000억 원 늘었다. 지난해 1~5월(-4조8,000억 원)은 물론 2년 전(-3조2,000억 원)과 비교하면 20조 원 이상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은행권 가계대출이 1년 새 2조8,000억 원 증가하는 데 그친 것과는 대조적이다.
제2금융권으로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대출 수요가 몰리는 가장 큰 이유는 지난해 연말부터 금융당국이 은행권 대출 고삐를 조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은행이 연내 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가계대출 총량 관리 압박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이달 초 시중은행장들을 불러모은 자리에서 "불요불급한 가계대출 취급을 최소화해달라"며 "미리 대비하지 않으면 내년과 내후년에는 보다 큰 위험으로 다가올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특히 이달부터 강화된 개인별 DSR 규제의 경우 아직 2금융권(60%)이 은행(40%)보다 여유로워 고신용 차주의 대출 수요가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최근 카드사들이 앞다퉈 카드론 최저 금리를 낮춘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KB국민카드는 올해 3월 카드론 최저금리를 3.9%로 낮췄으며, 최근 현대카드도 최저금리를 기존 5.5%에서 4.5%로 조정했다. 은행권 신용대출 금리와 1~2%포인트 차이로, 고신용자 대출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 출혈 경쟁을 마다하지 않는 모습이다.
실제로 올해 들어 비교적 고금리 대출로 인식되던 카드론 잔액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올해 1분기 7개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 카드론 잔액은 33조1,788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1조1,320억 원(3.5%), 1년 전에 비해서는 무려 2조8,740억 원(9.5%) 늘었다.
문제는 풍선효과로 2금융권 대출 잔액이 늘어난 만큼, 그에 따르는 금융리스크도 커졌다는 것이다. 경제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20대와 60대의 카드론 사용액이 평균을 훨씬 뛰어넘는 등 부실 위험성을 경고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하반기 금융 환경도 녹록지 않다. 제2금융권 대출 비중이 높은 소상공인들의 이자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를 앞두고 있는 데다, 기준금리 상승이 확실시되는 만큼 차주들의 상환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심해질 경우 낮은 수준에서 잘 관리되고 있는 연체율이 폭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계대출 총량 자체는 은행권 비중이 훨씬 높긴 하지만, 리스크는 금리가 높은 2금융권이 훨씬 크다"며 "당국에서 업권별로 선제적 관리를 주문하고 있지만 차주들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