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시 국내학자들과 비공개 간담회서?
'美 추가적인 대북 유인책 없다'는 뜻
미국의 대북정책을 총괄하는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겸 인도네시아 대사가 북미 정상 간 직접 소통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2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한미·한미일 북핵 협상 수석대표 간 협의를 위해 지난달 19~23일 한국을 방문했던 김 대표는 전직 고위 외교관리 및 민간 학자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가졌다.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한 참석자는 김 대표에게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내는 방안을 (백악관에) 제안하는 것은 어떻겠느냐"고 물었다. 북미 정상 간 친서 교환으로 비핵화 협상 교착 국면을 타개해볼 수 있지 않느냐는 취지의 제안이었다.
김 대표는 정색하며 "그러면 나 잘린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참석자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대화 의지를 떠보기 위해 던진 질문이었을 텐데 (김 대표가) 그 정도로 정색할 줄은 몰랐다"고 당시 분위기를 전했다.
지난 5월 바이든 행정부는 '잘 조정된 실용적 접근(calibrated and practical approach)'으로 요약되는 새 대북정책을 제시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북한을 협상테이블로 끌어들일 만한 구체적 유인책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다른 소식통은 "최근 북한과의 대치 상태에서 추가 인센티브를 제시할 계획이 없다는 바이든 행정부의 기류가 김 대표의 반응에서 확인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김 대표는 방한 시 한미 북핵 수석대표 간 협의를 마친 뒤 "전제조건 없이 만날 수 있다는 우리의 제안에 (북한이) 긍정적 반응을 보이기를 희망한다"는 대북 메시지를 발신했다. 일견 적극적인 대화 재개 메시지를 보낸 듯하지만, 속내는 북한이 협상 재개 조건으로 내걸고 있는 '대북적대시 정책 폐기'는 기대하지 말라는 뜻으로 해석됐다.
한편, 대북정책에 깊게 관여해온 전직 미 고위 관리는 최근 바이든 행정부가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재개를 지지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평가를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2018년까지 국무부에 몸담았던 이 전직 관리는 지난달 30일 국내 한 언론사 주최로 열린 회의에서 "(바이든 행정부 입장에서) 개성공단 재개는 절대로 안 되고, 금강산 관광사업도 지지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남북철도 연결사업은 지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18년 11월 착공식까지 열렸던 철도연결 사업을 제외한 남북경협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거부감이 크다는 의미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