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젠더 갈등으로 설명 안 되는 '행복'...돈·학벌의 문제였다

입력
2021.06.16 11:00
5면
0 0

[대선 D-9개월, 젠더·계층을 본다]

15일 서울 강남구 세텍(SETEC)에서 열린 2021 고졸성공취업대박람회에 참석한 한 학생이 채용공고게시판에서 메모를 하고 있다. 뉴스1

15일 서울 강남구 세텍(SETEC)에서 열린 2021 고졸성공취업대박람회에 참석한 한 학생이 채용공고게시판에서 메모를 하고 있다. 뉴스1

'젠더'가 시대의 키워드로 떠올랐지만, '내가 어떤 성별이냐'가 개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젠더보다는 학력, 소득 같은 사회경제적 자산의 영향이 더 컸다. 사회적 이슈의 원인과 현상을 '젠더 갈등'으로 손쉽게 치환하는 태도가 위험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한국일보·한국리서치 여론조사(지난달 25~27일 실시)에서 '삶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가'를 물은 결과, 전체 응답자가 매긴 평균 만족도는 4.8(만점 10 기준)이었다. 만족도는 성별보다는 학력에 따라 갈렸다. 남성과 여성의 평균 만족도는 각각 4.7과 4.8로, 엇비슷했다. 반면 고등학교 졸업 이하 학력자(4.4)와 대학 재학 이상 학력자의 만족도(5.1)는 차이가 컸다.

성별, 학력별 삶의 만족도 차이. 그래픽=송정근 기자

성별, 학력별 삶의 만족도 차이. 그래픽=송정근 기자

삶의 만족도는 소득과 비례했다. 월평균 가구소득 700만 원 이상인 응답자(5.6)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600만~700만 원(5.3), 500만~600만 원(5.0), 400~500만 원(5.0), 300만~400만 원(4.7), 200만~300만 원(4.3), 200만 원 미만(4.1) 순으로 떨어졌다.

월평균 가구소득별 삶의 만족도(10점 만점). 그래픽=송정근 기자

월평균 가구소득별 삶의 만족도(10점 만점). 그래픽=송정근 기자

나이와는 반비례했다. 20대(5.0)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30대(4.8), 40대(4.8), 50대(4.7), 60대 이상(4.6) 순이었다. '질풍노도의 청년기와 멀어질수록, 세상의 이치를 깨닫는 노년층에 가까워질수록 행복해진다' 혹은 '헬조선을 사는 2030세대가 가장 불행하다'는 통념과 다른 결과다. 다만 낙폭은 소득별 차이보단 크지 않았다.

'젊은 세대는 젠더 갈등으로 가장 괴로워한다'는 게 기성세대의 인식이지만, 20대의 행복 역시 성별보단 학력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20대에선 저학력 여성이 가장 취약한 계층이었다. 고졸 이하 20대 여성의 삶의 만족도는 4.4였고, 대학 재학 이상 20대 여성은 5.2로, 격차는 0.8이었다. 고졸 이하 20대 남성의 만족도는 4.7, 대학 재학 이상 20대 남성은 5.1로, 차이는 0.4였다. 20대의 학력에 따른 행복감의 격차가 성별에 따라 2배로 벌어진 것이다.

행복감을 좌우하는 '상대적 박탈감'도 성별보단 소득의 영향이 컸다. '주변 사람과 비교해 보면 박탈감을 느낀다'는 남성은 34.9%, 여성은 32.2%였다. 남성이 더 예민하긴 했지만, 차이(2.7%포인트)는 크지 않았다. 월평균 가구소득으로 따지면, 200만 원 미만(41.2%)일 경우 박탈감이 가장 컸고, 200만~300만 원(40%), 300만~400만 원(32.1%), 400만~500만 원(33.7%), 500만~600만 원(29.5%), 700만 원 이상(23%) 등의 분포를 그리며 뚝뚝 떨어졌다.

조사방법

이번 조사는 한국일보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 등을 통한 URL 발송) 방식으로 실시했다.

총 256개 문항을 설계해 △국정 인식 △공정 △안보 △젠더 등 폭넓은 주제들을 다양한 가설을 통해 검증했다. 세대론이 글로벌 이슈로 부상한 만큼, 세대 간 차이 및 세대 내 이질성을 집중 분석했다. 이번 조사처럼 방대한 문항을 묻는 데는 전화조사나 면접 조사에 한계가 있어 웹조사 방식을 활용했다.

①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이메일·문자·카카오톡·자체 개발 앱으로 설문을 발송했고 ②중복 응답을 막기 위해 1인당 조사 참여 횟수를 제한했으며 ③불성실한 응답을 차단하기 위한 모니터링 등을 실시했다.

한국리서치 웹조사 담당 연구진이 조사 전반을 관리해 품질을 높였다. 국승민 미국 오클라호마대 교수와 정한울 한국리서치 전문위원이 조사 설계와 분석에 참여했다.

조사 기간은 5월 25~27일, 대상은 전국 만 18세 성인 남녀 3,000명이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1.8%포인트다. 2021년 4월 정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지역·성·연령별 가중치를 부여했다.



홍인택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