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예산 반영 예정이지만 지방에 40% 떼줘야
"보수적 세수 추계로 재정 써야 할 때 못 써" 지적
올해 세금 수입이 애초 정부가 예상한 수준보다 30조 원 이상 많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정부의 엉터리 세수 예측 때문에 쓸 수 있던 예산마저 제대로 못 쓰는 결과를 불러왔다는 논란이 커지고 있다.
30조 넘는 초과 세수는 '처음'
1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추가 세수는 30조 원 이상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본예산안 발표 당시 전망했던 국세수입(282조8,000억 원)과 10% 이상 오차가 나는 것이다.
세수 오차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4년 이후 20조 원 이상 세수 오차가 난 것은 2018년(25조4,000억 원)이 유일하다. 오차율이 10%를 넘은 적은 한 번도 없었다. 그만큼 올해 초과 세수는 '역대급'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세수가 더 걷힐 경우, 정부는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그해 예산을 늘리거나 다음해 국가결산 시점(4월)까지 기다린 뒤 후년 예산에 보탤 수 있다.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를 감안해 초과세수를 추경에 쓰겠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다. 내년 국가결산까지 기다릴 경우, 재정 활용 시점이 미뤄지는 것은 물론 △지방교부세ㆍ교부금 정산 △공적기금상환기금 출연 △채무상환 등에 우선 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세수 예측 실패가 재정정책 위축 불러"
2017년에도 초과 세수를 추경 재원으로 활용했다. 당시 예상보다 8조8,000억 원이 더 걷힐 것으로 예상했는데, 여기다 전년도 예산에서 남은 돈(세계잉여금), 기금 여유자금 등을 활용해 11조2,000억 원의 추경을 국채발행 없이 단행했다.
다만 추경을 할 때도 법에 따라 늘어난 예산의 39.7%는 지방교부세(19.24%), 지방교육재정교부금(20.46%) 등에 우선 배분해야 한다. 2017년 추경 당시에도 3조5,000억 원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재원으로 배분했다.
이 때문에 정부의 세수 추계 실패에 대한 비판론이 제기된다. 애초부터 세수가 30조 원 이상 더 들어올 것으로 계획했다면, 지자체에 기계적으로 배분하는 대신 중앙정부가 코로나19 대응 예산을 늘리거나 국가채무 증가 폭을 줄이는 데 쓸 수 있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정부의 보수적인 세수 추계가 재정정책 규모를 위축시켰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급속한 회복기엔 세수 전망 어려워"
한편에선 정부의 세수 예측 어려움을 두둔하는 목소리도 있다. 올해 세수를 전망한 지난해 여름의 경제 상황을 감안하면 보수적인 전망을 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실제 정부는 지난해 9월 예산안 발표 당시 올해 법인세가 53조5,000억 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는데, 이는 지난해 실적(55조5,000억 원)보다 2조 원 적은 수준이었다. 막상 올해 1~4월 걷힌 법인세는 지난해보다 8조2,000억 원 늘어났다.
기재부 관계자는 “기업 실적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회복됐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난해 예산 작성 시점으로 돌아가면 예측하기 어려웠던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예산안 제출 한 달 뒤인 지난해 10월 올해 세수 전망을 내놓은 국회 예산정책처도 정부와 비슷한 수준(284조7,000억 원)을 전망한 바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