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대선 D-9개월... 與는 '정권심판론', 野는 '이재명'을 넘어야 한다

입력
2021.06.11 04:30
1면
0 0

[대선 D-9개월, 표심을 본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 대통령이 선거 마지막 유세날인 5월8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손자를 안고 딸 문다혜씨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오대근 기자.

2017년 제19대 대통령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 대통령이 선거 마지막 유세날인 5월8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손자를 안고 딸 문다혜씨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오대근 기자.

4·7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에 참패를 안겼던 민심은 내년 3월 대통령선거를 9개월 앞두고 '정권 심판론'에 기울어 있었다. 재보선 이후 2개월이 지났지만 민심은 여전히 정부·여당에 대한 회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의 정치 지형은 민주당에 불리하지만 '호감도'를 기준으로 한 인물론에서는 여권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여야를 통틀어 1위였다. 야권의 유력주자로 꼽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비해 '지방행정 경험'이 있는 이 지사를 상대적으로 '능력이 검증된 인물'로 평가하고 있었다. 정권 심판론과 인물론 사이에서 고민 중인 민심을 누가 차지할지가 다음 대선의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한국일보·한국리서치의 여론조사(지난달 25~27일 실시) 결과에 따르면, 내년 3월 대선에서 '정부·여당을 심판하기 위해 야당 후보를 지지해야 한다'(정권 심판론)는 응답은 41.8%였다. '정부·여당의 승리를 위해 여당 후보를 지지해야 한다'(국정 안정론)는 응답은 27.5%였다. 정권 심판론이 국정 안정론을 오차범위(±1.8%포인트) 밖에서 앞섰다. 지난해 12월 28~30일 실시한 한국일보·한국리서치 조사에서 정권 심판론(47.4%)과 국정 안정론(45.2%)이 팽팽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정치 지형이 급변한 것은 지난해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을 지지했던 유권자 중 35%가 지지를 철회한 탓이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건, 윤미향·조국 사태 등에 실망해 정부·여당에 등을 돌린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이탈 현상은 연령별로는 20대와 이념별로는 중도층에서 두드러졌다.

시각물_2022년 대선에 대한 의견 여당 후보 지지 vs 야당 후보 지지

시각물_2022년 대선에 대한 의견 여당 후보 지지 vs 야당 후보 지지

이번 조사에서 정권 심판론이 보수 성향이 강한 중장년층 외에 20대에서 높게 나타난 것과 같은 맥락이다. 20대 응답자(만18~29세) 중 16.4%가 정권 안정론을 택한 반면, 40.2%는 정권 심판론을 택했다. 60대 이상(56.2%)과 50대(41.8%)에 이어 정권 심판론이 높았다. 다만 30대와 40대에서는 정권 심판론과 정권 안정론이 오차범위 안에서 팽팽했다.

대선 주자별 호감도에선 여당 주자인 이 지사가 49.0%로, 야권으로 분류되는 윤 전 검찰총장(35.6%)보다 높았다. 이 지사는 민주당 이탈층에서도 57.7%의 호감도를 얻은 점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이 지사가 대선 행보 과정에서 친문재인계와 차별화를 시도한다면 민주당을 떠난 유권자들이 정권 심판론보다 인물론에 더욱 무게를 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는 37.7%, 부정평가는 56.9%로 나타났다.


조사 방법

이번 조사는 한국일보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웹조사(휴대전화 문자와 이메일 등을 통한 URL 발송) 방식으로 실시했다.

총 256개 문항을 설계해 △국정 인식 △공정 △안보 △젠더 등 폭넓은 주제들을 다양한 가설을 통해 검증했다. 세대론이 글로벌 이슈로 부상한 만큼, 세대 간 차이 및 세대 내 이질성을 집중 분석했다. 이번 조사처럼 방대한 문항을 묻는 데는 전화조사나 면접 조사에 한계가 있어 웹조사 방식을 활용했다.

①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이메일·문자·카카오톡·자체 개발 앱으로 설문을 발송했고 ②중복 응답을 막기 위해 1인당 조사 참여 횟수를 제한했으며 ③불성실한 응답을 차단하기 위한 모니터링 등을 실시했다.

한국리서치 웹조사 담당 연구진이 조사 전반을 관리해 품질을 높였다. 국승민 미국 오클라호마대 교수와 정한울 한국리서치 전문위원이 조사 설계와 분석에 참여했다.

조사 기간은 5월 25~27일, 대상은 전국 만 18세 성인 남녀 3,000명이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1.8%포인트다. 2021년 4월 정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지역·성·연령별 가중치를 부여했다.


김현빈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