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욕장 피서객 중 확진 사례 없지만?
본격 피서철 아니라 개장해도 드문드문
인건비 부담에 사전예약제 운영도 부담
해운대·송정은 사람들 몰려오자 '개장'
수은주가 30도선을 넘나들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바다를 낀 지자체들이 해수욕장 개장에 뜸을 들이고 있다. 해수욕장이 여름 한철 관광지에서 사계철 관광지로 변한 탓도 있지만, 신종 코로나바러이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깐깐해진 해수욕장 방역지침을 지켜가며 운영할 엄두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7일 충남 태안군에 따르면 군은 관내 28곳 해수욕장에 대한 내달 3일 일제히 개장한다. 태안군은 코로나19 사태 와중이던 지난해에도 만리포해수욕장을 공식 개장(6월 7일), 다른 지역 해수욕장보다 한 달 가량 더 길게 운영했지만, 올해는 조기 개장을 포기한 것이다. 각 지자체 등의 요구로 2019년 7월 해수욕장 관련 법안이 개정돼 지자체는 해수욕장을 365일, 24시간 운영할 수 있게 됐지만, 거꾸로 가고 있는 셈이다.
공식적인 이유는 ‘해수욕장을 통한 코로나19 확산 방지.’ 그러나 해수욕장이 기본적으로 야외 공간이고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 덕분에 어느 곳보다 감염 위험도가 낮은 곳이어서 설득력이 떨어진다. 실제 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전국의 해수욕장엔 2,680만명이 찾았지만 해수욕장에서 감염이 일어난 경우는 없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 관계자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해수욕장 피서객 중 확진 사례는 확인 된 바 없다”고 확인했다.
방역 최일선에 있는 지차제가 이 같은 사실을 모를 리 없음에도 불구하고 해수욕장 개장에 적극적이지 않는 데에는 눈을 씻고 봐도 조기 개장 효과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우선 ‘개장’ 선언과 동시에 수상안전요원 등을 배치해야 하지만 여력이 안 된다. 태안군 관계자는 “개장하면 사람이 많게 오든 적게 오든 아무리 작은 해수욕장도 최소 4명을 배치해야 하다”며 “작년처럼 조기 개장을 통해 30일가량 운용기간을 늘릴 엄두가 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관내 해수욕장 28곳을 44일간(본개장) 운영하는데 태안군은 통상 140명을 채용하고 있다. 이 인건비만 10억 원 가까이 든다.
코로나19로 가뜩이나 얼어붙은 지역경제에 활기라도 생긴다면 좋으련만 개장을 해도 사람들이 찾지 않으니 지역경기 부양효과도 전무 하다시피 하다. 코로나19 여파도 지난해 태안지역 해수욕장 방문객은 144만명으로 전년(221만명) 대비 30% 이상 감소했다. 만리포해수욕장 변의 한 횟집 관계자는 “본격적인 휴가철이 되어야 사람들이 몰리지, 개장을 했다고 해서 사람들이 몰리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여기에 더해 정부가 내린 방역 지침도 지자체들의 조기 개장을 막는 요소로 작용했다. 각 지자체에 따르면 올해 해수욕장 운용을 위해선 적정 인원을 유지하기 위한 사전예약제와 안심콜, 감염자의 해수욕장 이용을 막기 위한 체온스티커와 안심밴드 등을 적용해야 하지만, 본개장 준비에만도 벅차다. 강원도 관계자는 “정부에서 얼마의 예산을 보태줄지 모르지만, 지침대로 해수욕장을 운용하자면 출입구를 만들어 해수욕장을 드나드는 인원 통제가 필요하다”며 “그러자면 해수욕장 전체에 펜스를 쳐야 한다”고 말했다. 본개장 준비도 버거운 만큼 조기 개장은 생각도 못했다는 것이다. 강원도 관내 해수욕장 94곳은 내달 9일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열려 평균 50일간 개장한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2일 개장한 해운대해수욕장과 송정해수욕장은 여느 지자체에 비해 특수한 경우다. ‘한국의 마이애미’로 불리며 대표적인 해수욕장으로 자릴 잡고 있다 보니, 몰려드는 내외국인 방문객들의 안전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장’을 선언했다. 해운대구 관계자는 “더워진 날씨에 입욕자들이 늘었고, 이에 따라 구상구조대원을 배치 필요성이 커졌다”며 “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개장을 선언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