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팜,?후보물질 결정 막바지 단계
임상 아직인데 “내년 긴급사용 승인 신청”
제약업계 “너무 앞서 나간 듯”
후보물질 결정조차 못 한 제약기업이 "모더나·화이자와 같은 플랫폼 기술로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밝혀 업계에서 논란이다. mRNA 기술이 ‘태동기’인 국내에서 관련 연구가 이뤄지는 건 긍정적이지만 첫 단추도 꿰지 않은 채 ‘변이 바이러스’ 예방 기대감까지 언급한 것은 성급했다는 반응도 나온다.
동아쏘시오그룹 산하 제약기업인 에스티팜은 1일 보도자료를 통해 “코로나 mRNA 백신 개발에 성공한 모더나, 화이자 등이 사용하고 있는 제네반트의 LNP 기술과 특허 출원한 5’-capping(5프라임-캡핑) mRNA 플랫폼 기술을 적용해 변이 바이러스에도 대응이 가능한 자체 코로나 mRNA 백신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또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mRNA 신약 개발 및 생산에 필요한 자체 캡핑 기술과 LNP 약물전달 기술, 이에 필요한 원재료 생산까지 모두 가능한 회사로서 코로나 mRNA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친 상태”라며 “영국 및 남아공, 브라질, 인도 등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교차 중화반응 유도를 타깃으로 개발해 코로나 예방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후보물질 결정 못 했는데...“내년 긴급사용 승인 신청”
에스티팜의 자료에는 “동등 이상의 효능을 확인했다”거나 “가격이 저렴하다” “임상 1상을 개시할 전망”과 “내년 상반기 중 긴급 사용 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라는 표현이 담겼다. 마치 동물실험을 통해서 백신의 효능이 확인됐거나, 적어도 후보물질 도출이 완료돼 임상 1상 돌입 일정이 잠정된 듯한 인상을 준다. 반면 정작 대중의 주목도가 가장 높은 ‘임상 단계’에 대해서는 두루뭉술하게 적었다. “최종 후보물질이 결정되면 올해 안에 임상 1상을 개시할 예정”이라고만 밝혔다.
이날 에스티팜에 ‘최종 후보물질이 도출됐는지’ 묻자 “후보물질 도출을 올해 내로 완료할 계획”이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다시 말해 임상 1상은커녕 개발의 기초가 되는 후보물질조차 완전히 도출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에 대해서는 “신약 개발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건 널리 알려져 있고 앞으로의 계획을 밝힌 것”이라며 “전 단계(후보물질 결정)가 완료된다는 가정하에 다음 가정을 담은 것이고 단정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아 문제는 없다”고 해명했다. 이어 “오해할 부분이 있을 것 같아 최대한 표현을 정제했다”고 덧붙였다.
화이자와 모더나의 개발 과정을 보면 에스티팜이 올해 안에 후보물질을 도출하고 내년 상반기 중 임상 1상 시작이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만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기대감으로 제약산업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은 상황에서 용어 선택이나 공표 시기가 적절했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 긴급사용승인은 너무 낙관적인 관측으로 보이는데, 투자자의 이해를 왜곡하지 않도록 구체적인 세부 타임라인을 제시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후보물질 1만 개 중 단 1, 2개만 신약으로 탄생할 만큼 성공 확률이 낮은데 일반인의 시각에선 코로나19 백신 상용화가 가까운 것처럼 오해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도 “백신 개발까지 성공할 가능성이 적은 상황에서 국민이 오해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mRNA 연구 꼭 필요하지만…너무 앞서 나갔다”
제약·바이오업계는 코로나19를 떼어놓고 보더라도 mRNA 태동기에 접어든 현재, 연구를 통해 기술력을 확보하는 것은 분명 의미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한 바이오업체 관계자는 “단기간에 개발된 백신이라 장기간에 걸쳐 검증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세상에 없던 기술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완성돼 가는 단계”라며 “연구를 시작한다는 건 분명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국내외 주목도가 높아졌어도 전문영역에 대한 대중의 이해도는 비교적 낮을 수밖에 없어 개발과정 발표 시 더욱 신중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남양유업은 실험실에서 나온 연구 결과를 알렸으나 과장된 부분이 오해를 불렀다”며 “전문가와 일반인 간 정보편향이 큰 분야인 만큼 제약산업 전반에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