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금리 인상 코앞인데, '브레이크 없는' 가계 빚 증가...대출 질도 악화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금리 인상 코앞인데, '브레이크 없는' 가계 빚 증가...대출 질도 악화

입력
2021.05.25 19:00
수정
2021.05.26 09:12
3면
0 0

1분기 가계신용 잔액 1,765조 원... 1년 만에 9.5%↑
당국 신용대출 관리 노력으로 1분기 증가폭 줄었지만
은행 대신 제2금융 찾으며 금리 인상기 부실위험 키워

25일 오후 서울 마포구의 한 금융기관에 전세 자금 대출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25일 오후 서울 마포구의 한 금융기관에 전세 자금 대출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말 사상 처음으로 1,700조 원을 넘어선 가계 빚 규모가 갈수록 늘고 있다. 올해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각 가계가 대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사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특히 은행권의 대출 조이기로, 가계 빚에서 2금융권과 사금융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는 등 '대출의 질'도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가계 빚 자체가 우리 경제 근간을 흔드는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1년 만에 가계 빚 153.6조 증가... 신용대출 관리로 올해 1분기엔 증가폭 축소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가계신용(잠정)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가계신용 잔액은 1,765조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말과 비교하면 무려 153조 6,000억 원(9.5%) 증가한 수치다. 이 중 신용카드 외상거래(판매신용)액을 제외한 가계대출 잔액은 1,666조 원까지 치솟았다.

가계신용 잔액 그래프 자체가 우상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지난 1년간 증가액은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코로나19 충격이 본격화하며 생활자금 수요가 늘었던 지난해 2분기부터 주택과 주식, 가상화폐 투자 수요가 폭발한 연말 연초까지 그야말로 '빚 잔치'가 벌어졌기 때문이다.

송재창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주택담보대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올해 들어 코로나19로 인한 생활자금 수요에 투자 수요까지 늘어나면서 기타대출(신용대출)까지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1분기 가계대출 증가폭은 34조6,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었던 직전 분기(45조8,000억 원)에 비하면 다소 줄었다. 당국의 신용대출 관리 노력이 어느 정도 효과를 냈기 때문이다. 특히 당국 압박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예금은행의 경우 올해 1분기 신용대출 증가액이 겨우 3조 6,000억 원 증가하는 데 그쳐 직전 분기(11조 5,000억 원)의 3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시각물_가계신용 잔액 추이

시각물_가계신용 잔액 추이


은행 신용대출 문 좁아지자 제2금융권으로... 금리 인상기 '부실폭탄' 우려

문제는 시중은행 신용대출 문이 좁아지면서,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이나 기타금융기관 등 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과 사금융권의 대출액 비중이 늘었다는 데 있다.

지난해 3분기만 해도 전체 신용대출의 55.2%가량이 예금은행에서 나갔는데, 이 비중은 4분기 45.1%로 줄어들더니 올해 1분기엔 25.4%까지 쪼그라들었다. 반면 제2금융 등 나머지 대출기관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3분기 44.8%에서 올해 1분기엔 74.6%까지 늘어났다. 상대적으로 고금리 대출이 늘어나면서 대출의 '질'이 나빠졌다는 뜻이다.

금리 인상기가 코앞에 다가왔다는 것도 불안 요소다. 지난달 미국 물가상승률이 4%를 넘으며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국제유가부터 원자재, 식품, 각종 자산 가격까지 나날이 치솟으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긴축 카드를 뽑을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시장에서는 미 연준이 올해 하반기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을 시작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내년 초쯤 기준금리를 소폭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초저금리 환경을 믿고 무분별한 대출을 감행한 저신용자들을 중심으로 금융안정이 흔들릴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는 이유다.

장재철 KB국민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테이퍼링을 언급하기만 해도 시장금리가 움직이면서 가계부채 부담이 엄청나게 커질 것"이라며 "특히나 한은이 예상보다 빠르게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어, 미처 대비하지 못한 대출자들을 중심으로 부실 위험이 과도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곽주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