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종사자 세 명 가운데 한 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임금ㆍ소득이 감소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저학력자, 여성, 고령층에서 이 같은 응답이 더 많았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해 8~11월 직업 종사자 1만6,2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직업 영향 관련 재직자 조사’ 결과 전체의 35.8%가 코로나19 이후 임금ㆍ소득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임금이나 소득이 증가한 사람은 2.9%에 그쳤다.
고용정보원은 해마다 500∼600개 직업을 선정하고, 직업별로 약 30명의 재직자(재직 기간 1년 이상)를 대상으로 근로조건 변화 등을 조사한다. 이번 조사는 국내 537개 직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46%), 대졸(34.4%), 석사 이상(21.7%) 순으로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저학력일수록 임금이나 소득이 줄어든 사람의 비율이 높았던 셈이다. 성별로는 여성(39.9%)이 남성(34%)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50.5%)에서 임금ㆍ소득이 감소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41.6%), 40대(35.7%), 20대 이하(34.5%), 30대(32%) 순이었다.
직업별로 보면 음식서비스 관리자는 임금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의 비율이 100%에 달했다. 연극 및 뮤지컬 배우(97.1%), 모델(96.8%), 선박 객실 승무원(96.8%), 예능 강사(96.7%)가 뒤를 이었다. 반면 임금이나 소득이 증가한 직종은 택배원(63.3%), 가정의학과 의사(60%), 방역원(46.7%), 온라인 판매원(46.7%),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43.3%) 등이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비대면 업무수행과 재택근무 등으로 일하는 방식에 변화가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35%가 ‘있다’고 답했다. 직업별로는 중ㆍ고교 교사,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경우 일하는 방식에 변화가 있다는 응답률이 100%였다. 초등학교 교사·여행상품 개발자(96.7%), 중ㆍ고교 교장ㆍ교감(93.5%)이 뒤를 이었다.
근무 시간, 고객 수 등 업무량의 변화를 묻는 질문에는 감소했다는 답변(46.3%)이 증가했다는 응답(6.5%)보다 훨씬 많았다. 이 또한 저학력자, 여성, 고령층에서 감소했다는 답이 더 많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