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아무데도 없는 '발암물질' 카드뮴, 주민 몸 속에만 5배 ... '청주 소각장 미스터리'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아무데도 없는 '발암물질' 카드뮴, 주민 몸 속에만 5배 ... '청주 소각장 미스터리'

입력
2021.05.13 16:50
수정
2021.05.13 17:15
12면
0 0


지난 3월, 서울 마포구 자원회수시설에서 크레인이 쓰레기를 소각장으로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월, 서울 마포구 자원회수시설에서 크레인이 쓰레기를 소각장으로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소각장이 밀집된 충북 청주 북이면 일대 주민들의 체내 카드뮴 농도가 평균보다 최대 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년 반 넘게 진행된 조사에도 소각장과 지역 주민의 높은 암 발생률 간의 역학적 관련성은 입증되지 않았다. '청주 소각장' 문제는 소각장 인근 지역주민에 대한 첫 건강영향조사라는 점에서 관심이 컸던 사안이다.

환경부는 13일 충북 청주시 북이면 사무소에서 '소각시설 주변지역 주민 건강영향조사' 결과에 대한 주민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앞서 2019년 북이면 주민들은 인근 소각장에서 나오는 유해물질로 암이 많이 발생한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북이면 일대에는 우진환경개발(1999년), 클렌코(2001년), 다나에너지솔루션(2010년) 등 3개의 소각시설이 몰려 있다. 주민들 요구에 따라 국립환경과학원은 충북대 의대와 한국유로핀즈분석서비스에 의뢰, 2019년 12월부터 지난 3월까지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우선 소각시설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은 배출 허용 기준에 비해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이옥신,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중 벤조(a)피렌 등 배출 허용 기준 대비 0.15~9.3% 수준으로 확인됐다. 카드뮴은 검출되지 않았다. 북이면 대기 중 다이옥신, 벤조(a)피렌, 카드뮴 등의 농도 또한 다른 지역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토양을 조사했더니 여기선 오히려 전국 평균보다 낮게 검출됐다.

충북 도내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충북 폐기물소각장 폐쇄 공동대책위원회’가 2019년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주시 북이면 소재 소각시설인 클렌코의 허가 취소를 촉구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충북 도내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충북 폐기물소각장 폐쇄 공동대책위원회’가 2019년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주시 북이면 소재 소각시설인 클렌코의 허가 취소를 촉구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그런데 주민들의 생체 내 유해물질은 비정상적으로 높게 검출됐다. 주민들 소변의 카드뮴 농도(2.47㎍/g-cr)는 우리나라 성인 평균의 3.7~5.7배에 달했다. 카드뮴은 이타이이타이병, 생식 기능 저해와 불임 등을 불러올 수 있는 1군 발암물질이다. 또 2-나프톨(PAHs 대사체)의 농도(6.14㎍/g-cr)도 평균보다 약 1.8배, 유전자 손상지표(요중 8OHdG 농도 9.35㎍/g-cr)도 대조 지역(7.65㎍/g-cr)에 비해 높았다.

특히 눈길을 끄는 건, 소각시설과 거리가 가까운 사람일수록 소변 중 카드뮴 농도가 더 높게 검출됐고, 카드뮴 농도가 높게 측정될수록 유전자 손상지표(요중 8OHdG 농도)도 덩달아 높아졌다는 점이다.

하지만 2019년, 2020년 두 차례 조사에도 소각장 배출구에서 카드뮴이 검출되지 않은데다, 반감기가 20~30년으로 상대적으로 긴 토양에서도 카드뮴이 낮은 수준을 보인 점을 고려할 때, 소각시설과 인체 카드뮴 농도 간 인과성이 있다고 보기엔 어렵다고 판단했다. 또 소각시설과 관련성이 높다고 알려진 혈액암(비호지킨림프종)이나 폐암 등은 큰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환경부는 역학적 인과성은 인정하지 않되, 좀 더 장기적 연구를 이어가기로 했다. 환경부는 "2007년 이후 소각량이 급격히 증가했고, 길게는 10년까지 잡아야 하는 암 잠복기를 고려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겠다"고 밝혔다.

송옥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