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대면 소비 감소하자 소득 상위 20%는 자동차 소비 늘려
지난해 비대면 소비 비중 급증… "코로나 정상화되면 대면 소비 회복"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가계 소비가 크게 위축된 가운데, 소비 여력이 있는 부자들은 자동차나 가전 같은 내구재 소비 비중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면 소비가 큰 폭으로 줄어들었지만, 비대면 소비가 이를 일정 부분 상쇄한 것으로 분석됐다.
부자는 자동차·중산층은 가전제품 샀다
11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간한 ‘코로나19 경제위기와 가계소비’ 보고서를 보면,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는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보다 자동차나 가전 등 내구재 소비 비중을 19.6%포인트 늘렸다.
내구재를 다시 자동차 등 운송기구와 가구, 가전 같은 중소형 내구재로 나누면 운송기구 소비 비중은 27.4%포인트, 중소형 내구재는 6.5%포인트 늘어났다.
5분위의 자동차 등 운송 기구 소비 폭발적 증가는 다른 분위에서는 일어나지 않은 현상이다.
실제 1분위(1.2%포인트)와 2분위(0.4%포인트)의 운송기구 소비 비중은 소폭 증가했고, 3분위(-7.4%포인트), 4분위(-4.4%포인트)는 오히려 소비를 줄였다.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3분위 이상 가구는 중소형 내구재 소비를 늘렸다. KDI 분석에 따르면 3분위 가구의 중소형 내구재 소비 비중은 3.2%포인트, 4분위 가구에서 5.5%포인트 늘어난 반면, 1분위는 0.2%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고, 2분위는 오히려 0.3%포인트 감소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면 소비가 14.9% 줄어든 것과 반대되는 현상이다.
남창우 KDI 연구위원은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활동 제한은 대면서비스 소비를 제약했는데, 상대적으로 소비 여력이 확대된 계층은 비대면으로 내구재 소비를 늘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위축된 소비, 비대면으로 상쇄
코로나19가 바꾼 또 다른 소비 행태는 비대면 소비 증가다. 코로나19 확산은 지난해 가계 소비를 4.4% 줄인 효과가 있었는데, 지난해 전체 가계소비 감소폭(5.1%)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KDI에 따르면 코로나19 여파는 대면 소비를 8.4% 감소시켰는데, 비대면 소비가 4.3% 늘어나면서 대면 소비 감소를 일정부분 상쇄했다. 비대면 소비 비중은 2011~2019년 평균 31.5%에서 지난해 34.5%로 크게 늘었다.
금융위기 때는 소비자들이 내구재 소비를 줄이면서 경기 불확실성에 대응했지만, 이번에는 대면 접촉이 힘들어지자 오히려 비대면으로 내구재 소비에 나서면서 지출을 덜 줄였다는 분석이다.
KDI는 코로나19 집단면역이 가시화되기 전까지는 이 같은 대면 소비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코로나19가 예상보다 빠르게 잦아들 경우에는 가계 소비가 0.5%포인트가량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조덕상 KDI 전망총괄은 “코로나19 확산이 잦아들면 바뀌었던 소비 구성도 정상화되면서 그동안 부진했던 대면 소비가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