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운용' 검토서 선회... '공군 우군화' 의도
'돈 먹는 하마' 지적? 반박하며 홍보전
해군이 '경항공모함 사수'에 사활을 걸었다. 21일엔 공군을 향한 구애작전에 나섰다. 경항모 탑재 전투기를 해군이 아닌 "전문성 있는 공군이 100% 운용한다"고 강조하면서다.
해군 관계자는 이날 국방부 기자단을 대상으로 한 경항모 사업설명회에서 "내부적으로 해군 조종사를 양성하자는 논의가 있었다"면서도 "그런 욕심을 부리면 안 된다. 경항모는 해군력이 아닌 국가의 합동전력을 키우는 것이란 논리로 전·현직 해군참모총장을 설득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 결과 함재기는 공군이 하는 것으로 못 박았다"고 강조했다.
우리 군이 추진하는 3만 톤급 경항모에는 수직이착륙 전투기 20대가 탑재될 예정이다. 현재 미 록히드마틴사의 F-35B가 유력하다. 우리 해군은 항공모함에 자체 항공부대를 꾸린 미 해군을 꿈꾸기도 했으나 이를 단념했음을 공개 선언한 것이다.
이면에는 공군을 경항모 사업의 '우군'으로 확보하려는 의도가 있다. 경항모 사업은 군 당국의 역점 추진 사업이지만 해군을 제외한 육·공군에선 탐탁하게 여기지 않고 있다. 가용할 수 있는 국방비가 한정된 상황에서 타군의 전력 증강은 '나눠 먹을 파이'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국회는 지난해 경항모의 효용성과 절차 미비를 지적하며 2021년도 예산안에서 관련 예산 100억 원을 삭감했다. 경항모 사업에 대한 사업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국회 예산 심사까지 통과해야 하는 해군 입장에선 '우군 확보'가 지상과제다. 경항모를 '21세기 거북선'으로 비유해 온 해군이 이날 '합동전력의 결정체'라고 치켜세운 배경이다.
해군은 또 '돈 먹는 하마'라는 지적을 받아온 경항모 운영비에 대해선 "경항모 함정만 보면 연간 운영유지비가 500억 원 수준에 불과하다"며 "해군 연간 예산(8조 원)의 0.6%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는 3조 원에 달하는 함재기 도입비와 운영비를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완전한 의미의 '경항모 운영비'는 아니다.
경항모 보유로 인해 자칫 남중국해에서 미국의 지원 요구에 시달릴 우려에 대해서는 "과거 제주 해군기지를 만들 때도 미군 기지가 될 것이란 우려가 나왔지만 기우에 불과했다"며 "지원 요구가 들어오더라도 오히려 경항모를 레버리지(지렛대)로 반사이익을 얻는 등 정부가 쓸 수 있는 카드가 다양해진다"고 전망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