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운동가부터 독재자까지 변론
"누구나 헌법의 보호 받아야" 소신
한국전쟁 미군 양민학살에도 관심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을 변호해 논란과 화제를 동시에 모았던 ‘반전(反戰) 인권변호사’ 램지 클라크 전 미국 법무장관이 9일(현지시간) 94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11일 미 언론에 따르면 클라크 전 장관은 뉴욕 자택에서 숨을 거뒀으며 정확한 사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1949년 텍사스대를 졸업한 그는 린든 존슨 행정부 시절인 1965년부터 2년간 법무차관, 1967년부터 법무장관을 지냈다. 1969년 공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반전평화운동단체 국제행동센터(IAC)를 설립하고, 법과 정의를 무시하는 미국을 고발하는 데 온 생애를 바쳤다. 그는 인디언 저항운동의 상징 레너드 펠티어와 흑백차별에 항거하다 살인혐의를 쓴 흑인언론인 무미아 아부자말, 페루 공산주의 무장게릴라단체 테러 음모에 가담했던 로리 베렌슨 등을 변호하고 구명하는 데 앞장섰다.
하지만 그는 전쟁범죄와 관련한 인사들에 대한 변호도 서슴지 않아 논쟁의 중심에 서곤 했다. 특히 2005년 후세인 전 대통령을 변호해 국제적 관심과 비난을 받았다. 독재를 지지하진 않았지만 누구나 법 앞에 평등해야 한다고 믿은 그는 “히틀러가 살아서 법정에 섰더라도 공정한 재판을 받아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역사적 진실은 왜곡될 수 있다”고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재판부의 발언권 제한에 맞서 변호인단 집단 퇴정을 주도하면서 발언권을 얻은 일화도 유명하다.
코소보에서 ‘인종청소’를 자행한 혐의로 유고전범재판소에서 재판을 받던 중 사망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전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보스니아 전쟁 당시 대량학살을 저지른 세르비아계 정치 지도자 라도반 카라지치, 라이베리아의 학살자 찰스 테일러에게도 법률 자문을 해줬다.
클라크 전 장관은 자신의 이러한 행보가 법무장관 시절부터 계속된 시민권 옹호 노력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1996년 댈러스모닝뉴스와의 인터뷰에 “누구나 헌법 아래 공정성을 보장받아야 한다”며 “헌법은 특정 조건에서만 공정한 대우를 받는다고 규정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한때 미국을 위해 봉사하던 그가 ‘미국 반대자’로 돌아선 것은 법무장관 시절 목격한 베트남전 참상과 반전운동, 인권운동 등에서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같은 이유로 그는 한국전쟁에도 관심이 많았다. 2001년에는 ‘미군 양민학살 진상규명을 위한 전민족 특별조사위원회’(전민특위) 산하 국제진상조사단 단장을 맡아 북한과 남한을 오가며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양민학살이 벌어진 지역에서 진상조사를 벌였다. 2004년에는 한국 국가보안법 폐지 서명운동에도 동참했다.
뉴욕에서 활동하는 민권변호사 론 커비는 “진보 법조계는 원로 학자이자 정치가를 잃었다”며 “많은 세대에 걸쳐 클라크는 원칙적인 목소리와 양심, 시민과 인권을 위한 투사였다”고 고인을 애도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