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온라인 수업이 학교 정규 수업의 일부로 굳어지며 교육당국이 교원 디지털 역량강화 정책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전국 교육대?사범대에 원격수업 지원센터를 만들고, 일부 교육청은 인공지능(AI) 교육 지원 부서도 신설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몇몇 보여주기식 정책보다, 컴퓨터 관련 과목 수업을 늘리고 교원 컴퓨터 재교육을 실시하는 등 보다 현실적인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4일 교육부는 전국 17개 교육대?사범대에 미래교육센터 18개를 추가로 설치해 예비교원들의 원격수업 역량강화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0개 교육대?사범대에 설치한 시범사업을 전국 모든 교육대와 국립 사범대로 확대하는 것으로, 59억4,000만 원을 들여 원격수업 실습실과 온라인 콘텐츠 제작·실습실을 갖춘 미래교육센터를 짓는다. 예비교원인 교대·사범대 학생들은 원격수업을 실습하고, 수업자료를 제작하거나 교육용 운영체제를 활용해볼 수 있고, 대학은 이런 내용을 교육과정에 반영한다.
서울시교육청은 ‘인공지능?창의융합교육팀’을 새로 출범시키기로 했다. 기존 과학·영재·정보화교육팀에 AI 사고력의 ‘핵심교과’로 꼽히는 수학교육 업무를 추가해 과학·수학·정보교육 내용, 방법을 질적으로 개선한다는 구상이다. 시교육청은 AI 기반 교육과정-수업-평가 기록 분석을 통해 학생 맞춤형 교육까지 구현하는 ‘AI 기반 융합 혁신미래교육 중장기 발전계획(2021~2025)’을 지난 2월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런 대책들이 보여주기식 정책으로 끝날지 모른다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온다. 김성천 한국교원대 교수는 “교대?사대 교원 중 교직 경험이 없는 교육학 전문가가 많아 현재 예비교원 교육과정도 ‘이론과 현실의 괴리’가 지적된다"며 "자칫하면 디지털 관련 교육이 이런 괴리를 더 키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학교 교육이 장기적으로 ‘에듀테크’로 가는 방향은 맞지만, 교대?사대 교육과정을 전면 혁신하지 않고 별도 센터만 만들어서는 교원의 디지털 역량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김갑수 서울교대 컴퓨터교육학과 교수는 “온라인수업 등 일반 교사들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원 재교육을 의무화하는 방향이 효과적”이라며 “특히 담임이 모든 수업을 맡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원격수업 연수가 우선 진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공교육에서 컴퓨터 관련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교과 시수를 늘리는 게 최우선 과제라고 입을 모은다. 김갑수 교수는 “2008년 이명박 정부 당시 정보교육 의무 이수 지침이 폐지되면서 정보 과목은 일반 과목이 아니라 심화 과목으로 지정됐고, 2015년 초·중등 과정의 소프트웨어(SW) 교육 필수화 조치가 도입될 때 교원단체들 반대로 중학교만 34시간 의무 교육을 실시했다”고 지적했다.
컴퓨터 관련 의무 수업 시수가 줄어드니 전공 교사 선발 규모도 당연히 줄면서 선택과목을 컴퓨터로 정한 고등학교도 줄어드는 악순환이 반복됐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지난달 23일 한국정보교육학회 등 컴퓨터 교육 관련 학회가 연합해 출범한 ‘정보교육확대추진단’은 SW·AI 교육에 대해 △독립교과 운영 △시수 확대 △교원 확충 △교과과정 마련 △인프라 마련 등을 교육부가 2022년 교육과정 개정안에 담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