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3000번 버스 타고 김포, 강화도로 시간여행을 떠나다

입력
2021.04.10 11:00
16면
0 0
김시덕
김시덕문헌학자

편집자주

도시는 생명이다. 형성되고 성장하고 쇠락하고 다시 탄생하는 생로병사의 과정을 겪는다. 우리는 그 도시 안에서 매일매일 살아가고 있다. 과연 우리에게 도시란 무엇일까, 도시의 주인은 누구일까. 문헌학자 김시덕 교수가 도시의 의미를 새롭게 던져준다.


<10> 48번 국도변: 신촌-양천-김포-강화도

오늘은 김포버스 3000번을 타고 서울시의 한강 서북쪽 신촌부터 한강 서남쪽 양천?강서, 김포시 그리고 강화도 동북쪽의 강화군 강화읍까지 살펴본다.

서울 신촌의 3000번 버스 정류장에 세워진 안내판

서울 신촌의 3000번 버스 정류장에 세워진 안내판


한국전쟁 이전 배타고 건너던 길

한강을 건너면서 대략 국도48번과 겹치는 이 코스는 한반도의 현대사로 인해 탄생했다. 오늘날 강화?김포 주민들이 서울시로 볼일을 보러 가려면 3000번 버스 및 이와 비슷한 몇몇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하지만 1950년의 한국전쟁 이전에는 한강을 이용하는 것이 자유로웠기 때문에, 이들 지역 주민들은 배를 타고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가거나, 한강 건너 북쪽 고양군으로 가서 경의선 열차를 타곤 했다. 1980년대까지 한국의 사회상을 잘 담고 있는 타임캡슐인 뿌리깊은나무 출판사의 ‘한국의 발견’ 시리즈 가운데 경기도 김포군 편은 김포 주민의 서울 나들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특히 감암포 나루에서는 서울까지도 길이 이어졌었으니 이곳 주민들은 식민지 시대 동안에만 하더라도 이 나루에서 건너편인 고양군 송포면의 이산포 나루로 건너가 그곳에서 일산까지 걸어간 다음 일산에서 경의선 기차를 타고 서울로 갔다. 그렇지만 한국전쟁이 끝난 뒤부터는 배를 타고 서울 가는 사람이 줄어 이 나루도 그 기능을 잃고 말았다.”(176쪽)

여기에 등장하는 감암포는 현재 김포한강신도시에 포함된 김포시 운양동에 지명으로만 남아 있고, 강 건너 북쪽 이산포 역시 포구로서의 기능을 잃은 지 오래다. 북한 간첩의 침투를 막기 위해 한강 하류의 하안(河岸)을 요새화시켰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전쟁으로 인해 한강 건너 고양으로 건너가는 방도를 상실한 김포?강화 주민들은 주로 국도48번길을 이용해 서울을 오가게 되었다.

오늘날 김포군은 김포시로 승격한 한편, 강화군은 인천광역시와 육지로 이어져 있지는 않지만 인천의 일부가 되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으로 향한다는 실감은 신촌에서 버스를 타고 한강을 건넌 직후부터 느낄 수 있다. 20세기 상당 기간 동안 인천의 상수도는 노량진 근처의 한강에서 끌어올려 보내다가, 요즘에는 영등포구 서북쪽에서 취수(取水)하고 있다. 그래서 이 근처를 지나다 보면 상수도 시설물 가운데 '살고 싶은 도시 함께 만드는 인천' 구호가 붙은 건물을 볼 수 있다.

서울 영등포구 서북부에서 보이는 인천수도 건물

서울 영등포구 서북부에서 보이는 인천수도 건물

양화대교를 통해 한강을 넘은 버스는, 다시 양화교를 통해 영등포구에서 양천구?강서구로 넘어간다. 1979년 유신설계기술공단이 세운 양화교 위로 새마을운동 깃발이 펄럭이는 모습을 볼 때마다, 한국이 본격적으로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갖춘 1970년대로부터 벌써 반세기가 흘렀구나 하는 감회를 느낀다.

1979년 유신설계기술공단이 세운 양화교 위로 새마을운동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

1979년 유신설계기술공단이 세운 양화교 위로 새마을운동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

양화교를 건너면 본격적으로 옛 김포군의 세계가 펼쳐진다. 다시 '한국의 발견' 김포군 편을 인용한다. “지금의 김포군 지역은 1914년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묶이기 전까지 북쪽에 통진현이, 김포읍을 중심으로 한 중부에 김포군이, 그 남쪽에 1963년부터 서울시 강서구 땅이 돼버린 양천현이 함께 자리잡고 있던 땅이다.”(179쪽).

양천에서 김포, 서울 강서·양천구로

잘 알려졌다시피 서울은 1963년 주변 경기도 땅을 대규모로 흡수하면서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됐다. 이 가운데 현재 서울시 서부의 일부는 김포군에서 떼어왔다. 그래서 서울 강서구에 김포공항이 있고, 김포공항과 부천역을 잇던 철도 이름이 김포선이며, 서울 양천구 서서울호수공원의 원래 이름이 김포정수장이었던 것이다.

옛 양천군 지역에 속하는 강서구와 양천구에는 양천향교가 남아 있고, 한강을 통해 한양으로 보내지던 소금을 보관하는 소금창고 즉 염창(鹽倉)이 염창동이라는 지명으로 남아 있다. 하지만 조선시대 양천군의 모습을 전하는 것은 이 정도에 불과하며, 공장과 신도시 개발로 인해 옛 모습은 거의 찾을 수 없다.

개인적으로는 슈퍼마켓을 가리키는 백여 가지의 이름 가운데 드물게 보는 '하이퍼마켙' 명칭이 남아 있는 것과 식민지 시대 마곡 지역의 논농사 물을 관리하던 양천수리조합의 배수펌프 창고가 남아 있는 것에 관심이 간다. 내가 대학생 때 마곡에 왔다가 논농사 지대가 펼쳐져 있는 모습을 보고 '아직도 서울에 이런 곳이 있구나' 감탄했던 기억이 있다. 그 후 마곡 신도시 개발 소식을 듣고, 논농사 시절의 사진을 찍어두지 못한 것을 후회했다. 양천수리조합의 흔적도 배수펌프장뿐이고, 사무실로 쓰던 건물은 누군가 소리소문없이 헐어버렸다.

강서구에 염창 즉 소금창고가 있었음을 알리는 비석(윗줄 왼쪽)과 강서구의 등마루하이퍼마켙. 아랫줄은 양천수리조합 배수펌프장과 철거된 양천수리조합 사무동. 김시덕·이승연 촬영

강서구에 염창 즉 소금창고가 있었음을 알리는 비석(윗줄 왼쪽)과 강서구의 등마루하이퍼마켙. 아랫줄은 양천수리조합 배수펌프장과 철거된 양천수리조합 사무동. 김시덕·이승연 촬영

역사는 오래되었으되 옛 모습은 거의 남지 않은, 현대 한국의 축소판 같은 옛 양천군 땅을 지나 경인 아라뱃길을 넘으면 김포시에 들어선다. 김포시 초입에 자리한 고촌읍에는 고촌성당이 있고, 이곳에는 한국전쟁 때 좌우익 갈등에 휘말려 사망한 송해붕 선생의 무덤이 있다. 고촌읍을 지나 풍모동에 들어서면, 마을 초입에 김포골드라인 풍무역 건설을 둘러싼 플래카드가 폐비닐하우스에 걸려 펄럭이고 있다. 한국전쟁부터 신도시 건설에 이르기까지 크고작은 갈등을 겪어온 김포 지역의 고단함을 이런 풍경들에서 느낀다.

고촌읍 고촌성당의 송해붕 선생 무덤(왼쪽)과 풍무동 초입의 플래카드 및 비닐하우스

고촌읍 고촌성당의 송해붕 선생 무덤(왼쪽)과 풍무동 초입의 플래카드 및 비닐하우스

풍무동을 지나 사우동으로 가면, 1974년 준공된 구 한강농지개량조합 건물이 오늘날에도 한국농어촌공사 김포지사로 쓰이고 있다. 그 북쪽의 북변동에는 예전에 신촌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 버스가 정차하던 옛 터미널 건물이 아직 남아 있고, 시청과 경찰서 건물도 여전히 남아 다른 용도로 쓰이고 있다. 이처럼 김포군 시절 구도심 모습을 잘 남기고 있는 사우동과 북변동은 오늘날 주변에 건설 중인 고층아파트 단지에 포위돼 다소 위축된 느낌을 준다. 이들 지역까지 모두 재개발을 해버린다면 김포시의 옛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 것 같으니, 옛 터미널 주변의 일부만이라도 도시재생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옛 모습을 남기면 좋겠다.

1974년에 준공된 구 한강농지개량조합 건물(윗줄 왼쪽부터 시계방향), 구 김포터미널과 구 김포경찰서, 연탄보관소와 송미여인숙. 김포군 시절의 구도심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1974년에 준공된 구 한강농지개량조합 건물(윗줄 왼쪽부터 시계방향), 구 김포터미널과 구 김포경찰서, 연탄보관소와 송미여인숙. 김포군 시절의 구도심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김포군 구도심을 지나 한참 동안 고층아파트 단지 사이를 지나면, 이제는 김포시의 북부로만 인식되는 옛 통진현 지역으로 들어선다. 이 지역에서 흥미로운 점은, 조선시대 통진현의 중심지로 통진향교?통진이청이 자리잡은 월곶면 군하리가 거의 쇠락해버렸고, 이보다 김포군의 구도심 및 서울과 좀 더 가까운 '마송' 지역이 실질적인 중심지 기능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말하는 '마송'은 월곶면 서암리와 양촌면 마송리가 만나는 통진읍 조강로 일부를 막연히 가리키는 지명이다. 여기서 다시 한번 '한국의 발견' 김포군 편을 읽어보자.

“김포군은 서울과 강화를 이어주는 길목 구실을 하는 셈인데, 그냥 스쳐 지나가는 길목이므로 대처의 문화나 사람이나 돈이 이곳에 부려지는 기회가 적다. 다만 흔히 마송이라고 불리는 조암 거리라는 곳이 대처 사람의 발길을 잠깐이나마 붙들어두는 구실을 한다. 6·25 뒤에 뱃길이 끊기자 김포군과 다른 지방을 잇는 교통수단으로는 국도가 남게 되었고 그 길목에 있는 마송이 정류장이 되자 이곳에 5일장이 들어서게 되었고 덩달아 그 일대가 커졌다...그 때문에 본디 월곶면의 면소재지이며 예전에 통진현에서 으뜸가는 마을이었던 군하리는 마송에 밀려났다.”(184쪽)

'한국의 발견' 경기도 김포군 편에 실린 마송의 풍경. 마송은 한국전쟁 이후 교통요지로 떠오르며 통진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한국의 발견' 경기도 김포군 편에 실린 마송의 풍경. 마송은 한국전쟁 이후 교통요지로 떠오르며 통진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한국전쟁으로 인해 강화?통진 사람들이 서울로 갈 때 이용하던 뱃길이 끊기다 보니 국도48번을 주로 이용하게 됐고, 옛 통진현의 중심이던 군하리가 아닌 교통의 요지 '마송' 지역이 통진의 중심지로 새롭게 부상했다. 역시나 한국전쟁이 접경 지역의 모습을 결정지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내가 통진이청과 통진향교를 찾아간 날, 우연히 월곶 지역의 향토사 연구자 분들을 만났다. 통진의 중심지가 이곳이었다는 사실이 잊혀 안타깝다는 감회를 들을 수 있었다. 일행 가운데 증언을 들려주는 분의 말씨가 경기도와 조금 달라서 여쭈니, 역시나 황해도에서 월남한 분이었다. 김포·통진 지역이 월남민들의 주요 정착지였음을 새삼 확인했다.

향교 앞은 외국인노동자로 북적이고

이렇듯 통진현의 중심이 이동했음을 보여주는 것이, 통진향교와는 동떨어진 마송 사거리 주변에 자리한 통진유림회관 사무실이다. 그리고 그 사무실 아래층에 러시아·우즈벡 레스토랑이 위치한 데서, 21세기 한국의 구석구석에 외국인 노동자들이 자리하고 있음을 느낀다. 마송을 비롯해 대도시에서 먼 지역일수록 외국인 대상의 식당과 마트의 숫자가 늘어남을 체감한다. 통진향교가 자리한 군하리의 버스정류장 바로 옆에도 외국 물건을 파는 큰 마트가 있고, 답사 중에 외국인 노동자를 여럿 지나쳤다. 21세기 한국에서 전통과 현대의 만남은 이런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도시 사람만 이런 사실을 모르고 있다.

왼쪽은 옛 통진의 중심지에 자리한 통진이청(위)과 통진향교, 오른쪽은 현 중심지인 마송의 한 건물에 들어선 외국식 레스토랑과 통진유림회관

왼쪽은 옛 통진의 중심지에 자리한 통진이청(위)과 통진향교, 오른쪽은 현 중심지인 마송의 한 건물에 들어선 외국식 레스토랑과 통진유림회관

옛 통진현의 중심지이던 군하리를 지난 버스는, 산속 깊이 자리한 김포대학교를 지나 갑자기 탁 트인 바닷가로 접어든다. 강화도와 마주하고 있는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문수산성과 수목장 그리고 새우구이집 등이 유명해서 서울·경기·인천권 시민 가운데 다른 김포시 지역은 안 가봤어도 여기는 와 본 분이 꽤 있을 터이다.

김포시 월곶면 문수산성에서 바라본 강화도

김포시 월곶면 문수산성에서 바라본 강화도

포내리에서 강화대교를 건너 잠시 서쪽으로 달리던 버스는, 1970년대 유행한 형태와 색을 띤 강화 인삼센터 건물을 끼고 좌회전해서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에 들어선다. 오늘날 인삼 하면 강화와 풍기가 유명하지만, 한때는 '강화 인삼'이라는 이름으로 '김포 인삼'이 팔리던 시절이 있었다고 '한국의 발견'은 전한다. 수원의 '푸른지대' 딸기가 워낙 인기가 높다 보니 일부 다른 지역의 딸기를 가져다 팔고, 인천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홍어를 목포에 가져가 파는 것과 마찬가지라 하겠다.

강화읍 강화인삼센터(위). 김포 구도심의 개풍빌딩(아랫줄 왼쪽)은 김포와 개성?개풍 지역의 관련성을 보여준다.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건물의 고려안경과 서울치과 간판이 강화도의 여러 정체성을 보여준다

강화읍 강화인삼센터(위). 김포 구도심의 개풍빌딩(아랫줄 왼쪽)은 김포와 개성?개풍 지역의 관련성을 보여준다.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건물의 고려안경과 서울치과 간판이 강화도의 여러 정체성을 보여준다

“김포군의 농업을 이야기하면서 빠뜨릴 수 없는 것으로 인삼이 있다. 김포 인삼은 70년대 한동안 유명했으며 아직도 중요한 산물로 꼽힌다. 이곳 인삼 재배의 역사는 50년대 후반 시작됐다. 한국전쟁 때 피난 온 개성과 그 일대 개풍군 사람들이 강화와 이곳에 인삼을 심은 뒤로 성하게 된 것이다.... ‘강화수삼센타’에서 파는 강화 인삼의 80%쯤이 김포군에서 캐낸 인삼이다. 이 김포 인삼들이 ‘강화’라는 이름을 빌려 팔려나가는 것은 강화군과 김포군의 관계를 보여주는 좋은 보기이다. 경기도에서 강화 인삼이 ‘불공평하게도’ 김포 인삼보다 더 이름이 난 것은 예전부터 김포군이 늘 강화군의 뒷전으로 밀려 지내 온 보기가 된다고 할 수 있겠다.”(180-183쪽)

고려의 강화도 천도와 강화도 간척 흔적, 조선시대 강화도 군사 유적들, 근대 강화도의 방직공장들과 노동 사목(司牧), 미군 기지촌 등등, 강화도에서는 살펴볼 곳이 무수히 많다. 하지만 이들 지역은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에서 또다시 버스나 택시를 타고 들어가야 하므로, 오늘 우리의 답사는 여기서 끝내기로 한다.

한국전쟁이란 사건 이후 육로를 통해 긴밀하게 이어졌던 강화군과 김포시. 그러나 강화군이 인천직할시에 편입되고 인천이 경기도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그리고 김포시 곳곳에 신도시가 생기고 김포골드라인 전철이 개통돼 서울시에 연담화되면서 두 지역은 서로 다른 길을 가기 시작했다는 느낌을 받는다. 강화군은 강화군대로 한때 고려 도읍이 자리했던 땅이라는 정체성을 키워가고 있고, 김포시는 김포시대로 고양·의정부·남양주·구리·하남·성남·과천·안양·군포·부천처럼 서울에 연담화된 도시라는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 변화 속에 3000번 버스가 달리는 48번 국도변의 모습이 앞으로 어떻게 바뀌어갈지 주목된다.

글·사진=김시덕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