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반도체' 2025년까지 5개 제품 상용화
마스크·LDS 주사기 등 'K-방역' 제품 수출 계획도 논의
정부가 2025년까지 현재 1,100개에 불과한 전기차 정비소를 3,300개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차세대 먹거리로 불리는 전력 반도체도 2025년까지 5개 제품을 상용화할 방침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주재하면서 “친환경차 보급 확대에 따라 충전중 화재, 배터리 대규모 리콜 등이 이어지며 안전성 문제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며 “기업의 안전 확보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의 안전성 제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기차의 경우 내연기관 자동차와 쓰이는 부품 등이 달라 별도의 전문 정비소가 필요하다. 하지만 2019년 기준 전체 정비소(약 3만5,000개) 중 전기차 정비소는 약 3%(1,100개)에 불과하다. 정부는 정비업 등록기준 중 내연기관용 정비소에 적용되는 시설요건을 일부 완화해 전기차 전문 정비소 확대를 유도할 방침이다.
화재, 배터리 리콜 등 우려가 커진 전기차에 대한 안전검사도 강화한다. 고전압 배터리 안전성 시험 평가항목에 진동, 열충격, 과전류 등을 추가해 기존 7개 항목에서 11개 항목으로 늘리고, 충돌안전성 평가 대상에도 전기차를 추가한다.
전기차 등에 쓰이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차세대 전력반도체는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등에 쓰일 그린 뉴딜 핵심부품으로 손꼽힌다.
정부는 2025년까지 핵심제품 5개 이상을 상용화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수요 기업과 연계해 단기간에 상용화가 가능한 부품을 발굴할 계획이다. 올해 60억 원의 예산을 들여 파워반도체 생산 물량을 월간 300장에서 600장으로 늘리는 등 인프라 투자에도 나선다. 정부는 이와 함께 화합물 소재 기술을 개발해 국내의 반도체 밸류체인을 확보하고, 제조 공정도 미리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K-방역’ 관련 의료 제품의 맞춤형 수출지원 방안도 논의했다. 현재 주력 수출품목인 마스크와 진단키트, 체온계는 물론 최소잔여형(LDS) 주사기, 인공호흡기 등 총 10개 중점 품목을 선정해 각 제품의 특성에 맞는 수출 전략을 세운다는 계획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