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불혹의 아르코예술극장… "지적 공동체의 담론 공간으로"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불혹의 아르코예술극장… "지적 공동체의 담론 공간으로"

입력
2021.04.01 04:30
23면
0 0

취임 1주년 맞은 정순민 극장장

지난 29일 서울 동숭동 아르코예술극장에서 만난 정순민(가운데) 극장장은 "예술극장이 코로나19 시기에도 문닫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수많은 스태프들의 헌신적인 모니터링 덕분"이라고 했다. 정 극장장 좌우로 정영순 극장운영부장과 진용남 무대기술부장이 앉아 있다. 한진탁 인턴기자

지난 29일 서울 동숭동 아르코예술극장에서 만난 정순민(가운데) 극장장은 "예술극장이 코로나19 시기에도 문닫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수많은 스태프들의 헌신적인 모니터링 덕분"이라고 했다. 정 극장장 좌우로 정영순 극장운영부장과 진용남 무대기술부장이 앉아 있다. 한진탁 인턴기자

대학로 터줏대감 아르코예술극장(예술극장)이 개관 40주년을 맞았다. 예술극장을 거쳐간 연극, 무용, 국악 등 작품만 6,500여개로, 공연예술의 산실이다. 그간의 역사도 대단한데 불혹의 극장은 변신을 꿈꾸고 있다. 무대 제공 역할을 넘어 '문화 공론의 장'으로 거듭나겠다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지난해 4월 1일 취임한 정순민(52) 극장장이 있다.

29일 예술극장에서 한국일보와 만난 정 극장장은 "극장이 무대를 지원하고, 공연을 홍보하며 표를 파는 일은 소극적인 역할('최소주의')에 머무는 것"이라며 "공연 상품을 소비하는 곳을 넘어, 담론을 통해 지적 공동체를 만드는 공간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일환으로 정 극장장은 예술인과 관객의 만남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 극장장은 "관객은 공연에 관한 호기심을 해소하고, 예술가는 피드백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다"며 "공연장이 대관업무만 하는 곳이라는 개념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공공극장으로서 관객개발에도 앞장선다. "주 고객이었던 예술가에 신경 쓰느라 관객을 돌보지 못했다"는 반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대학로와 친근한 대학생들이 편히 들르는 극장을 구상 중이다. 이들은 미래의 잠재 관객이다. 정 극장장은 "학생들이 예술극장에서 공연 보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공연이 없는 평일 낮 시간을 활용해 관객 참여형 프로그램을 많이 만들 생각"이라고 했다.

예술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인큐베이팅(배양)' 시설로도 눈을 돌린다. 정 극장장은 "비어있는 연습실을 내어주는 차원을 넘어, 공연 관련 연구자료를 제공하고 제작진을 위해 다른 예술가들을 초청해 함께 토론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했다.

정순민(맨 왼쪽) 아르코예술극장 극장장은 1994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문화예술진흥원(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근무했다. 20년 만에 친정으로 돌아온 그는 "한국 사회는 복잡한 정체성을 갖게 됐는데 공공극장은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측면이 있다"며 "자기 쇄신을 통해 예술의 공공성에 대해 끊임 없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진탁 인턴기자

정순민(맨 왼쪽) 아르코예술극장 극장장은 1994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문화예술진흥원(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근무했다. 20년 만에 친정으로 돌아온 그는 "한국 사회는 복잡한 정체성을 갖게 됐는데 공공극장은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측면이 있다"며 "자기 쇄신을 통해 예술의 공공성에 대해 끊임 없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진탁 인턴기자

이런 구상들은 원래 취임과 동시에 추진하려던 역점사업이었지만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리면서 늦춰졌다. 지난해는 바이러스와의 싸움에 모든 걸 걸었다. 결과는 확진자 발생 0명을 기록해 성공적. 정 극장장은 "예술극장의 방역 노하우를 토대로 조만간 정부와 '공연장 방역 가이드라인'을 만들 예정"이라고 했다.

정 극장장의 임기 내 사명 중 하나는 예술계의 상처를 치유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일이다. '문화계 블랙리스트'와 '팝업씨어터' 사건 등의 재발방지를 말한다. 정 극장장은 "지난 1년은 예술극장을 떠난 이들을 보며 그들의 불신이 얼마나 깊고 광범위한지 각성하는 시간이었다"며 "진심으로 예술인들께 사과한다"고 밝혔다. 취임 이후 정 극장장의 공개 사과는 처음이다. 정 극장장은 "극장은 예술인의 동반자일뿐 시혜자가 아니다"라면서 "다시 공감하고 연대하며 공동의 목표를 이루고 싶다"고 했다.

한편 예술극장은 1일부터 한달간 극장 로비와 지하연습실 등에서 40주년 기념 전시 '없는 극장'을 개최한다. 건축가 김수근이 지은 예술극장 자체가 전시 대상이다. 관객은 헤드폰을 끼고 극장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해설을 들을 수 있다. 전시는 예술극장이 폐관하고 40년이 지난 2121년이라는 가상의 해를 배경으로 했다. 이제는 사라져서 없는 극장에서 지난 역사를 회고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김시습의 '만복사저포기'에서 영감을 얻었다.

장재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