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대체텍스트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대학생 딸의 파격, 연못·뜬 마루... 짓고 보니 "마음 읽은 것처럼"

입력
2021.03.31 04:30
수정
2021.03.31 11:22
22면
0 0

편집자주

집은 ‘사고파는 것’이기 전에 ‘삶을 사는 곳’입니다. 집에 맞춘 삶을 살고 있지는 않나요? 삶에, 또한 사람에 맞춰 지은 전국의 집을 찾아 소개하는 기획을 수요일 격주로 <한국일보> 에 연재합니다.

집은 가장 큰 노후 대비 자산이다. 한평생 모아 마련한 집은 제2의 인생의 무대이기도 하다. 대전에서 오랜 직장생활을 한 정순안(57)·강미경(53) 부부도 노후를 대비해 8년 전 세종시의 한 주택단지에 땅(대지면적 329.80㎡ㆍ99.76평)을 사뒀다. 2년 전 퇴직을 앞두고 부부는 집을 짓기로 했다. 부부는 노후를 보낼 집의 설계를 대학생 딸에게 맡겼다. 2019년 완공된 부부의 이름을 딴 ‘순안미경가정(淳安美景家庭ㆍ성한 기운이 편안하게 감싸고, 풍경이 아름다운 뜰이 있는 집)’은 세 딸을 모두 독립시킨 부모의 편안한 노후를 상상하며 딸이 그린 선물 같은 집(연면적 238.68㎡)이다.

식당 앞 실외에 딸려 있는 넓고 얕은 연못은 수면에 반사된 빛을 안으로 들이기 위해 설치됐다. 한국일보 영상팀

식당 앞 실외에 딸려 있는 넓고 얕은 연못은 수면에 반사된 빛을 안으로 들이기 위해 설치됐다. 한국일보 영상팀


부부는 집의 중심인 식당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다. 정명선씨 제공

부부는 집의 중심인 식당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다. 정명선씨 제공


집의 중심은 연못 있는 식당

설계 제안은 당시 건축학과 3학년이던 둘째 딸 정명선(25)씨가 먼저 했다. “여러 건축가를 알아보다 교수님에게 부탁했더니 도와줄 테니 제게 해보라고 하셨어요. 망설이다 (남의 집이 아니라) 부모님 집이니 한번 해보자고 마음먹었죠.” 딸의 제안에 부부는 흔쾌히 동의했다. “처음에는 딸에게 맡길 생각이 없었는데, 남의 집이 아니라 내 집이니까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괜찮겠다 싶었어요. 딸이 실수해도 다 받아줄 수 있는 마음도 있었고요. 부담 없이 ‘대학생 수준의 집을 지어도 괜찮다’고 했어요.”

부부는 딸에게 ‘볕이 잘 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집’이면 된다고 했다. “아무것도 없는 땅에 뭘 새로 짓는 게 쉽지 않더라고요. 제가 생각한 집을 한번 그려봤는데 살아온 아파트 평면에서 벗어나질 못했어요. 찢어버리고 채광과 통풍만 잘되면 나머지는 딸에게 마음껏 해보라고 맡겼어요.”

딸은 건축주가 된 부모의 일상부터 돌아봤다. “어렸을 때부터 가족들은 같이 밥 먹고, 얘기하는 걸 좋아했어요. 식탁에서 시시콜콜한 얘기까지 많이 했어요. 그런 일상은 두 분이 퇴직해도 중요하겠죠.” 딸이 주방과 식사 공간에 집의 가장 많은 부분을 할애한 이유다.

집은 긴 우드슬랩 테이블이 있는 식당에서 시작된다. 식당을 중심으로 거실과 주방, 다실, 2층 등 각 공간이 연결돼 있다. 한국일보 영상팀.

집은 긴 우드슬랩 테이블이 있는 식당에서 시작된다. 식당을 중심으로 거실과 주방, 다실, 2층 등 각 공간이 연결돼 있다. 한국일보 영상팀.


식당 뒤편으로는 아일랜드 주방을 두어 효율적인 동선을 계획하고, 설거지를 하면서도 북쪽 산 전망을 볼 수 있도록 창을 냈다. 한국일보 영상팀

식당 뒤편으로는 아일랜드 주방을 두어 효율적인 동선을 계획하고, 설거지를 하면서도 북쪽 산 전망을 볼 수 있도록 창을 냈다. 한국일보 영상팀

남향으로 길게 놓인 집의 중심은 거실이 아니라 식당이다. 식당을 중심으로 모든 공간이 연결된다. 식당 앞 실외에는 넓고 얕은 연못이 있다. 대지에서 살짝 뜬 연못은 수면으로 빛을 반사해 식당 안으로 빛을 끌어들인다. 식당 뒤에는 아일랜드 주방을 배치해 조리 동선을 효율적으로 구성했다. 식당 오른쪽에는 고기나 생선을 굽거나 김장을 하거나, 손님들과 조촐한 파티를 즐길 수 있는 내부와 연결된 외부 공간이 있다. 식당의 왼쪽은 거실과 연결되지만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40㎝가량 단차를 뒀다. 식당과 주방 사이에는 한지와 장판, 쪽마루를 사용해 한옥 느낌이 물씬 나는 온돌방도 뒀다. 조부모와 지인들이 놀러 올 때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공간이다.

식당 천장을 높이면서 2층에는 '뜬 마루'가 생겼다. 한국일보 영상팀

식당 천장을 높이면서 2층에는 '뜬 마루'가 생겼다. 한국일보 영상팀

식당 위도 특별하다. 거실과 단차를 둔 식당의 천장을 높이면서 2층에 ‘뜬 마루’가 생겼다. “식당 천장을 높이다 보니 2층 바닥보다 식당 천장이 90㎝가량 더 높아졌어요. 벽에 붙여 천장을 완벽하게 차단하기보다 알라딘의 마법양탄자처럼 천장을 띄우면 어떨까라는 생각에서 나왔어요.” 철제 빔으로 띄운 마루는 무게 1톤 이상 올려도 끄떡없다. 연못에서 비친 물그림자가 띄워진 천장의 틈새로 2층 벽까지 오르내린다. 빛과 소리가 수시로 드나든다. 2층 바닥에서 붕 떠 있는 마루는 한옥의 대청마루처럼 한여름 낮잠을 청하기에 알맞다.

부부는 딸의 예상대로 식당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다. “여기서 식사도 하지만 물그림자를 보면서 아내와 대화도 하고, 책도 보고, 일도 하고, 차도 마십니다. 연못이 없었으면 그렇게 오래 앉아 있지 못할 것 같아요. 저희는 생각지도 못했던 공간이어서 매번 감탄이 나와요.”

1층에는 공적인 영역인 거실과 식당을 배치했다. 남향의 거실 창으로 빛이 넉넉하게 들어온다. 한국일보 영상팀

1층에는 공적인 영역인 거실과 식당을 배치했다. 남향의 거실 창으로 빛이 넉넉하게 들어온다. 한국일보 영상팀


거실에서 식당으로 가는 길목에 고목을 끼워 넣었다. 구조적인 기둥 역할을 하면서 나무의 유기적인 곡선이 분위기를 편안하게 해준다. 한국일보 영상팀

거실에서 식당으로 가는 길목에 고목을 끼워 넣었다. 구조적인 기둥 역할을 하면서 나무의 유기적인 곡선이 분위기를 편안하게 해준다. 한국일보 영상팀


고목은 1~3층을 수직적으로 연결해준다. 한국일보 영상팀

고목은 1~3층을 수직적으로 연결해준다. 한국일보 영상팀


실험적인 요소가 가득한 집

부부의 예상을 깨는 딸의 파격은 계속됐다. 딸은 집 중심인 식당과 거실 사이에 고목 한 그루를 끼워 넣었다. “구조적으로 기둥을 세워야 하는데 직선으로만 이뤄진 집의 중심에 직선 기둥은 답답할 것 같아서 유기적인 곡선의 나무를 사용했어요. 껍질을 거칠게 벗겨내 빛에 따라 미세한 그림자가 나타나 더 자연스러워요.” 고목은 뜬 마루를 관통해 3층 다락까지 이어진다. 뜬 마루가 기능적으로 각 층을 연결했다면, 고목은 형식적으로 공간을 이어준다.

뜬 마루가 2층 평면에 리듬감을 부여했다면 3층 다락에서는 구름다리가 짜릿함을 선사한다. 널찍한 다락에는 기독교인 부부만의 기도실과 캠핑 등을 하는 다목적실이 있다. 두 공간은 낮은 구름다리로 연결된다. 전망이 좋은 북쪽으로 다락 발코니도 냈다. 부부는 흡음재를 두른 박공 지붕 아래에서 기도를 하고, 캠핑 의자에 앉아 발코니에서 고기를 굽고, 잠옷만 입고 별을 바라본다. 한평생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경험이다.

2층에는 부부의 방과 세 딸이 집에 오면 머무를 방이 있다. 층간 이동을 줄이기 위해 미니 주방도 배치했다. 한국일보 영상팀

2층에는 부부의 방과 세 딸이 집에 오면 머무를 방이 있다. 층간 이동을 줄이기 위해 미니 주방도 배치했다. 한국일보 영상팀


3층 박공 지붕 아래는 아파트에서는 꿈꾸기 어려웠던 캠핑과 바비큐 등을 할 수 있다. 구름다리를 건너면 조용한 기도실이 있다. 한국일보 영상팀

3층 박공 지붕 아래는 아파트에서는 꿈꾸기 어려웠던 캠핑과 바비큐 등을 할 수 있다. 구름다리를 건너면 조용한 기도실이 있다. 한국일보 영상팀

딸의 과감한 시도에 부부는 내심 걱정했다. “웬 연못? 웬 마루? 웬 고목? 사실 잘 상상이 안 됐어요. 그냥 딸이 하겠다고 하니까 마지못해 해보라고 했죠. 실패해도 누구한테 원망 들을 일이 없으니까요. 남의 집에 이거 한다고 했으면 말도 안 된다고 말렸을 거예요.”

‘노후용 주택 치곤 과감하다’는 괜한 염려에 부부는 현실적인 고민으로 답을 대신했다. “당장 거동이 힘들면 어떻게 살지 하는 걱정보다 멀지 않은 미래에 세 딸이 결혼해서 손주를 낳으면 산후조리를 1층 온돌방에서 할지 2층 침실에서 할지 고민이에요. 손주가 생기면 이 집을 더 잘 쓰지 않을까요.”

식당 앞 연못의 수면에 비친 빛이 시시각각 안으로 들어와 춤춘다. 한가로이 뜬 마루에 걸터앉아 가족을 생각한다. 정명선씨 제공

식당 앞 연못의 수면에 비친 빛이 시시각각 안으로 들어와 춤춘다. 한가로이 뜬 마루에 걸터앉아 가족을 생각한다. 정명선씨 제공

집을 지으면서 가족은 서로 더 가까워졌다. 살아보니 딸이 기특하다. “오래전 ‘햇빛 좋은 날 마당에 널어놓은 빨래를 볼 수 있는 집’을 꿈꿨던 기억이 되살아나더라고요. 그 얘긴 딸에게 안 했는데 제가 이 집에서 그렇게 살고 있었어요. 딸이 제 마음을 읽은 것처럼 고마웠어요.” 딸은 부모의 무한 신뢰를 느꼈다. “이 집을 설계하면서 ‘나를 얼마나 믿고 사랑해주면 이렇게 돈도 많이 들고, 어려운 결정도 많이 해야 하는 일을 나에게 흔쾌히 맡겼을까’ 하는 고마움을 많이 느꼈어요. 저의 첫 작품이 부모님의 집이어서 더없이 기쁩니다.”

세종 강지원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