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이후 3곳까지? 줄었던 지방은행 점포 30여 곳으로 확대
좁은 시장 벗어나 서울 금융시장 차지하기 위한 각축
금리 혜택 더 주는 등 차별화된 서비스로 틈새시장 노려
점포수 늘리는데 한계..."최근 모바일 뱅킹 시장 노려"
서울을 차지하기 위한 지방은행들의 각축전이 펼쳐지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은행당 3곳 안팎에 불과하던, 서울 내 지방은행 지점 수는 이제 30여 곳으로 늘어났고, 지방은행 지점을 만날 수 있는 곳도 을지로나 여의도뿐 아니라 마곡이나 성수, 잠실 등으로 넓어졌다. 좁은 지역 사회 기반을 벗어나 서울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지방은행들의 노력이 이어진 결과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광주은행과 부산은행, 대구은행의 서울 내 지점 수는 각각 18곳, 7곳, 3곳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3년 3월만 하더라도 총 15곳에 불과했던 점포 수가 7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전북은행과 경남은행까지 합치면 서울 내 지방은행 점포 수는 27곳에서 42곳으로 증가했다.
1960~1970년대 '1도 1은행' 원칙에 따라 설립된 뒤 튼튼한 지역 기반을 딛고 행세를 키워가던 지방은행들은 외환위기 직후 부실 은행으로 분류돼 퇴출되거나 다른 금융기관에 인수·합병되면서 힘이 크게 줄었다. 특히 외환위기 이후에는 한국은행 어음결제나 서울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을 위한 업무 등을 위해 서울 점포를 대폭 줄이면서 지방은행의 점포는 은행당 3개 안팎으로까지 줄어들었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체력을 비축한 지방은행들은 다시 서울 진출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특히 2015년 지방은행의 수도권 진출 규제가 풀리면서 은행들은 본격적인 수도권 '먹거리' 경쟁에 뛰어들었다.
가장 공격적인 확장세를 보인 은행은 광주은행이다. 2010년만 해도 서울 내 지점이 5곳에 불과했던 광주은행은 지난해 18곳으로 10년 만에 크게 지점 수를 늘렸다. 수도권까지 합치면 28곳으로, 전체 점포 중 수도권 지점이 차지하는 비율은 20%를 넘어 전체 지방은행 중 가장 높다. 부산은행도 10년 전 4곳에서 지난해 7곳으로 서울 내 지점 수를 늘려가고 있다.
대구은행은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서울 내 지점 수는 3곳으로 10년째 동일하지만, 인천·경기 지역까지 합치면 점포 수는 8곳으로 늘어난다.
점포 수가 절대적으로 적은 지방은행들은 시중은행들과 경쟁하기 위해 틈새시장을 공략하거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법인이나 의사 등 전문직 대출 시장에서 시중 은행 대비 저렴한 대출 금리를 제공하거나, 특정 직업군에 예금 금리를 더 높게 주는 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점포 수가 적기 때문에 주로 큰돈을 맡기거나 빌리는 법인 영업이 주를 이룰 수밖에 없다"며 "특히 금리 면에서 이득이 있어야 거래를 하기 때문에 특정 상품에서 시중은행 대비 유리한 상품이 지방은행마다 몇 개씩 있는 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점포 수가 너무 적어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가 이용하기에는 불편하다는 등 한계도 명확하다. 수도권 점포를 유지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아 지방은행들은 점포를 시중은행만큼 폭발적으로 늘리지도 못하고 있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최근 모바일 뱅킹 사용이 늘면서 점포 수의 한계는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금리 면에서 이득이 있다면 찾아오는 고객이 많을 것으로 보고 서울 등 수도권 공략에 더욱 공들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