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도 일부 영향
세계 무기 거래 규모가 최근 10년 동안 정체에 빠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해 지구촌을 휩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도 무기시장 침체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그나마 아시아ㆍ태평양지역 국가들이 무기 도입을 확대한 점이 눈에 띈다. 군사적 야심을 노골화하는 중국을 견제하려는 목적이다.
스웨덴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는 15일 발표한 ‘2020년 국제 무기거래 현황’ 보고서를 통해 2016~2020년 무기 거래가 직전 5년(2011~2015년)에 비해 0.5% 감소했다고 밝혔다. 10년간 정체기가 계속됐다고 볼 수 있다. 이 기간 96개국에 무기를 내다 판 미국은 글로벌 수출의 37%를 차지했다. 2위 러시아(20%)와 비교해 두 배 가까이 높은 압도적 1위다.
글로벌 무기시장의 ‘큰 손’은 중동이었다. 5년간 중동지역의 무기 수입은 직전 동기 대비 25% 껑충 뛰었는데, 카타르와 이집트의 증가율은 각각 361%, 136%나 됐다. 중동의 맏형 사우디아라비아도 61% 도입량이 급증했고, 전체 무기시장에서 비중도 11%에 달했다. 이란을 강하게 옥죈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강경 정책 효과로 풀이된다.
중국 인접국들도 무기를 많이 사들였다. 해당 기간 아시아와ㆍ오세아니아 지역의 무기 도입 비중은 전체의 42%를 점유했다. 한국은 2011~2015년 2.7%에서 2016~2020년 4.3%로, 일본은 1%에서 2.2%로 급증했다. 미국 인도ㆍ태평양 정책의 한 축을 담당하는 호주 역시 비중이 3.6%에서 5.1%로 상승했다. 세계 4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피터르 베제만 SIPRI 무기ㆍ군사지출 선임연구원은 “아태 지역 나라들이 무기 수입을 늘린 것은 중국을 위협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대(對)중국 안보 협의체인 쿼드(Quad) 4개국(미국ㆍ일본ㆍ호주ㆍ인도)의 국제 무기 도입 비중은 21.5%에서 18.9%로 떨어졌다. 인도 지분이 전기 14%에서 9.5%로 줄어든 영향이 컸다.
세계 무기 거래량이 약보합세를 이어갔지만 군축 신호로 해석하기엔 이른 감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베제만 선임연구원은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으로 일부 국가는 앞으로도 몇 년간 무기 수입을 재고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감염병이 대유행한 지난해에도 여러 나라들이 대규모 계약을 체결한 점을 감안하면 확대 해석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