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책임' 언급 등은 없어...수위 조절
"북한 인권에도 우려"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 중인 최종문 외교부 2차관이 올해 기조연설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보편적 인권 문제로 부각시켰다. 단, '위안부 합의'에 대한 직접 언급은 삼가는 등 다소 신중해진 메시지를 내놨다.
최 차관은 22일(현지시간) 화상으로 진행된 제46차 유엔 인권이사회 기조연설에서 “현재와 미래 세대는 2차 세계대전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스러운 경험으로부터 귀중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여전히 분쟁지역에서 성폭력이 전쟁수단으로 자행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위안부의 비극은 보편적 인권 문제로 다뤄져야 하고, 더는 이런 중대한 인권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피해자 중심 원칙 하에서 이제 고령으로 그 숫자가 줄고 있는 위안부 생존자들의 존엄과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라며 “전 세계의 전쟁 성범죄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지난 4년 간 유엔 인권이사회 연설부터 이번 연설까지 위안부 문제를 빠짐없이 다뤄왔다. 2018년 인권이사회 연설에서 강경화 당시 외교부 장관은 “한일 위안부 합의는 피해자 중심주의가 결여된 합의”라며 2015년 도출된 한일 간 위안부 합의를 직접 비판하기도 했다.
반면 이번 연설에서 외교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이나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최근 문재인 정부의 대일 외교 기조가 관계개선으로 선회한 데 따라 연설문도 수위 조절을 한 것으로 보인다.
최 차관은 북한 인권 문제도 지적했다. 그는 “인권 보호와 증진은 문재인 정부의 정책 최우선순위 중 하나”라며 “북한 인권 상황에도 깊은 관심과 우려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북한 주민 1,000만명 이상이 영양실조 상태인 것으로 추정된다는 유엔 보고에 우려를 표한다. 북한의 인도주의적 (위기)상황은 코로나19와 경제제재, 자연재해의 ‘3중고’로 더 악화될 수 있다”면서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남북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우리 측 요청에 호응해달라고 북측에 촉구하기도 했다.
유엔 인권이사회에는 통상 외교부 장관이 참석해왔지만, 올해는 정의용 장관 대신 최 차관이 참석했다. 외교부는 “장관 일정을 두루 고려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북한 인권 문제를 언급해야 하는 등 북한을 자극할 가능성을 고려해 차관급 인사를 보냈다는 해석도 나온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