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공식 경영 복귀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지난 2014년 집행유예가 확정된 이후 7년간 지속돼 온 김 회장에 대한 취업제한 규정이 18일 종료되기 때문이다.
재계에선 김 회장이 이르면 다음달 주주총회를 통해 7년간 내려놨던 주요 계열사 대표이사 자리에 오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아울러 우주항공 분야 등 한화그룹의 미래 먹거리 사업에도 가속도가 붙게 될 조짐이다.
다음달 주주총회서 주요 계열사 대표이사 복귀 가능성
15일 재계에 따르면 김 회장은 2012년 8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혐의로 기소돼 2014년 2월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의 판결이 확정됐다. 배임 혐의로 처벌받은 경우 집행유예가 종료된 날로부터 2년간 해당 회사의 취업을 금지하는데 당시 판결 직후 김 회장은 ㈜한화 등을 포함해 총 7개 계열사 대표이사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 때문에 김 회장이 18일 취업제한 조치 기간 만료 후 곧바로 ㈜한화 등 주요 계열사의 대표이사 또는 등기임원에 다시 오를지에 관심이 쏠린다.
그 동안 김 회장이 경영 전반에 관여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법적 부담을 덜어내게 되는 데다, 공식적으로 대표이사 직함을 달고 직접 경영 나설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그의 경영 보폭은 더 빨라질 것이란 관측이다. 다음 달 주주총회를 앞두고 주총 결의를 공시하는 이달 말쯤에 김 회장에 대한 등기임원 안건 등 복귀 형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총수의 빠른 의사 결정으로 신사업 드라이브
김 회장의 공식적인 경영일선 ‘귀환’을 계기로 그룹의 미래 신성장 동력인 신사업에도 드라이브가 걸릴 것으로 점쳐진다. 그룹 총수로서 빠른 의사 결정이 가능해진 만큼 신사업 발굴을 위한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을 것이란 시각에서다.
김 회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향후 항공우주, 그린수소 에너지 등을 미래 성장동력 사업을 중심으로 한 한화그룹의 미래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달 13일 김 회장의 신년사 직후 인공위성 전문업체인 쎄트렉아이 지분 30%를 사들이기로 하는 등 우주 분야 투자에도 시동이 걸렸다.
김 회장의 미국 정ㆍ관계 인맥도 한화의 신사업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01년 설립된 한미교류협회의 회장을 맡았던 김 회장은 미 헤리티지재단과도 오랜 시간 인연을 이어왔다. 김 회장은 빌 클린턴 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취임식에도 초대를 받았다.
‘미국 통’인 김 회장이 친환경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이는 바이든 정부와 이미 태양광, 수소 등의 사업을 안착시키고 있는 한화 사이에서 연결 고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차기 전경련 회장 거론되지만 부담감 커
차기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의 유력한 후보군에 올라간 김 회장의 수용 여부도 관심사다. 전경련은 2011년 이후 10년째 허창수 현 회장이 이끌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차기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으로 사실상 낙점되면서 올해 창립 60주년을 맞는 전경련도 쇄신을 위해서는 재계의 무게감 있는 새 인사가 필요치 않겠냐는 의견도 나온다. 김 회장이 차기 회장으로 꾸준히 거론된 이유다.
다만 전경련이 국정농단 사태와 연관됐던 이유로 누구든 차기 회장직을 수락하기 부담스러울 것이란 견해도 나온다. 재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19와 미ㆍ중 무역갈등 심화 등으로 글로벌 경영환경의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어 김 회장이 보다 적극적으로 경영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며 “복귀 후 곧바로 전경련 회장직까지 맡기에는 부담감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