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뒤 서울의 한 학교. 교사는 수업 준비 전 인공지능(AI)에게 지난주까지 학생들의 상태에 대해 물어본다. AI 자료를 보며 이 학생에겐 복습을, 다른 학생에겐 별도 프로젝트를 제안해보면 어떨까 고민한다. 학생별 맞춤형 지도를 고민할 수 있는 건 학사행정 업무 대부분을 AI 개인비서가 처리하기에 가능한 일이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9일 ‘AI 기반 융합 혁신미래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을 내놓으며 그려낸 미래 교실의 모습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2025년까지 5년간 476억원을 투입해 AI교육을 강화할 뿐 아니라 공교육의 모든 과정을 AI기반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우선 유·초·중·고 모든 교과에서는 AI에 대한 기초교육을 넘어 AI의 윤리 문제, 디지털 리터러시 등을 가르친다. 데이터 기반의 과학교육 등도 강화한다. 조 교육감은 “학생들이 살아갈 미래는 현재 AI와 협력하는 단계를 넘어 AI와 공존하는 시대가 될 것”이라며 “초등 17시간, 중등 34시간에 불과한 정보교육 때만 AI를 가르치는 게 아니라 전 교과를 AI 기반 융합역량을 기르는 교육과정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학생들에 대한 AI교육을 넘어 교육과정과 수업의 평가 등 전반적 교육환경 자체를 AI기반으로 바꾼다. 수업, 평가, 분석, 진단 등 교육과정에다 'AI를 이용한 과정중심평가' 개념을 집어넣는다. 강연흥 학교정책과장은 “현재의 결과중심평가는 학생이 학습진행과정 중 어디에서 어떻게 막혔는지 파악하기 알기 어렵다"며 "AI와 학생 간 대화를 통해 막힌 부분이 어딘지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이 데이터들을 모아 학생들의 인지적 성장에 도움을 주자는 취지"라 말했다. 이 데이터가 오래 누적되면 학생별 맞춤형 교육콘텐츠를 제공하는 'AI 맞춤형 교육솔루션'이 만들어진다.
마지막으로 취약계층을 위한 AI튜터도 도입한다. AI튜터는 다문화·탈북학생, 난독·난산·경계선 지능학생과 장애학생들을 위한 것이다. 시교육청은 5월 중 공교육에 적용할 AI알고리즘의 가이드라인과 등급제를 개발, AI튜터 프로그램을 개발키로 했다. 조 교육감은 “올해 탈북학생 대안학교 및 다문화 특별학급 운영학교 20곳을 AI튜터 마중물 학교로 지정, 시범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작업을 뒷받침하기 위해 시교육청은 교사 가운데 AI 교육전문가를 5년간 1,000명 양성한다. 선도교사단 200명(지원청별 15명 내외)을 뽑아 1학교당 1명의 교사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강 학교정책과장은 “현재 사범대 양성과정에서는 AI 활용법이 들어 있지 않으므로 지금부터라도 빠른 연수를 통해 교사들의 이해·활용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