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정부의 외신 대응 기능을 확대ㆍ강화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4일 확인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면을 거치며 한국의 위상이 높아진 상황에 발 맞추어 해외 홍보 기능을 키워야 한다고 본 것이다. 기회를 잘 활용하면 '아시아 미디어 허브'가 될 수 있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국내 언론이 정부를 비판하는 일이 잦은 만큼, 외국 언론에 눈을 돌리는 게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국내 언론으로부터 다소 과한 견제를 받고 있다는 것이 현 정권의 인식이다.
"해외 언론도 중요" 보고받은 文 "좋은 생각"
청와대와 정부 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문 대통령은 지난달 초 '해외 언론 대응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는 청와대 내부 보고를 받았다. 문 대통령은 "좋은 생각"이라고 언급하면서 '외신 대응을 강화하라'는 지시를 모든 부처에 내렸다. 해외 언론을 상대로 정책 자료 제공과 설명을 '충분히' 하라는 것이 골자였다. 정세균 국무총리에게도 문 대통령의 뜻이 전달됐다.
정 총리→문체부→행안부...착착 대응
정 총리가 곧바로 '조치'에 나섰다. '외신 대변인 역할을 하는 자리를 마련하라'는 지시가 각 부처에 전달됐다. 지금은 해외 언론 담당자가 있는 부처도 있고 없는 부처도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모든 부처에 담당자를 두라는 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설치를 적극 검토하라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부처별 외신 대응 상황을 분석, 인력 보강이 필요한 부처를 선별했다. 같은 정부 관계자는 "문체부 초안은 마련됐고, 이를 바탕으로 최근 행정안전부와 조직 개편 논의를 시작했다"고 전했다. 최종안은 기획재정부, 국회 등과 협의를 거쳐 확정된다. 해외문화홍보원 기능 강화, 부처별 외신 인터뷰 확대 등도 부처별로 검토되고 있다.
주요 외신 서울로... 靑 '아시아 미디어 허브' 구상
정부가 해외 언론 대응 비중을 높이기로 한 1차적 이유는 한국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다. 코로나19 방역과 경제 위기 대응에서 지표상 좋은 평가를 받은 이후로 외신 취재 수요가 많아졌으나, 대응할 능력은 충분히 갖추지 못했다고 본 것이다.
특히 홍콩 민주주의 탄압 사태를 거치며 외국 주요 언론사들이 서울을 '아시아 거점'으로 삼으려는 분위기가 외신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기조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워싱턴포스트, 뉴욕타임스, AFP 등이 서울에 사무실을 꾸렸다. 정부는 외신 유치를 위해 기자 입국 시 자가격리를 면제하고 국내 정착도 지원 중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국 위상이 높아지고, 해외 언론이 한국을 거점 지역으로 눈여겨 보게 된 것이 외신 대응을 강화하기로 한 가장 중요한 계기"라고 말했다.
외신이 덜 비판적이어서? "비교적 공정"
'국내 언론보다 해외 언론이 객관적'이라는 정권 차원의 판단도 깔려 있다. 외신 보도는 '정파적 고려'를 덜 하는 데다 정부 정책을 일일이 분석하거나 평가하지 않기 때문에 청와대와 정부에 상대적으로 우호적으로 비친다. 여권 고위 인사는 "국내 언론은 평가가 박하지만 외신은 비교적 공정하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내 언론 보도를 관리하기 위한 제도 마련에 집중하고, 정부는 해외 언론과의 관계를 두텁게 형성하는 식으로 일종의 역할 분담을 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다만 정부가 국내 비판 여론을 해외 언론의 홍보성 보도로 덮으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없지 않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