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첫' 전화 통화가 아직이다. 청와대는 '얼마나 빨리'보다는 '얼마나 내실 있게' 통화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바이든 대통령이 이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와는 통화를 했고, 비슷한 시기 문 대통령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를 하면서 '한미 정상 통화가 너무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도 일정이 확정되지 못하는 데 대해 상당한 부담감을 느끼는 분위기다.
"조율 중" 반복하는 靑... 원인은 미국에?
최근 미국 대통령들은 취임 후 최장 13일 내 한국 정상과 통화를 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전 미 대통령, 황교안 전 대통령 권한대행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은 취임 후 각각 4, 9일 만에 전화를 했다. 버락 오바마 전 미 대통령은 이명박 전 대통령과 13일 만에 통화했다. 하지만 이번 한미 정상통화는 바이든 취임 후 14일째인 현재(한국시간 3일)까지 성사되지 않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도 "일정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조율 중'이라는 말은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지난달 21일(한국시간) 이후 계속 나왔다. "곧 가능할 것"이란 말이 여러 차례 흘러나왔고, 날짜가 잡혔다는 얘기가 나왔다가 번복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든 대통령과의 통화가 성사되지 않자, 외교가에서는 '한미 간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커지고 있다.
일정이 확정되지 않는 일차 원인은 미국 쪽에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자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및 백신 접종에 사활을 건 바이든 대통령이 외교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 일부 지역이 폭설 피해를 입은 것도 일정 지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청와대는 분석한다.
그러나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22일 캐나다를 시작으로 여러 정상들과 통화를 마쳤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는 부수적이라는 분석도 있다. 청와대 내부에도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전략이 아직 완벽하게 짜이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기류가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어떤 식으로든 '북한에 보내는 메시지'를 담아야 하므로, 신중을 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급한 사안인 미얀마 군부의 정권 장악에 외교력이 집중돼 있는 것과도 연관이 있어 보인다. 미국은 이번 사태를 '쿠데타'로 규정한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직접 성명을 내고 군부의 권력 포기와 구금자 석방 등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촉구했다. 실력 행사에 나선 것이다.
전화 순서는 정책 우선순위 지표이기도... 靑 '부담'
바이든 대통령이 통화 일정을 확정하지 않자 외교가에서는 '한반도 문제가 바이든 행정부 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렸다는 방증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대북 전략을 두고 한미가 이견을 보이고 있거나, 미중 갈등이 영향을 줬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는 "확대 해석 말라"고 했지만, 바이든 대통령과의 통화에 앞서 문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시 주석과 통화한 것을 "미묘하다"고 보는 시각이 많았다.
잡힐 듯 잡히지 않는 한미 정상통화 일정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시점은 중요하지 않다. 양 정상의 일정이 맞지 않으면 못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 대통령의 전화 순서가 정책 우선순위를 가늠하는 지표 중 하나라는 점을 부인하기는 어려운 만큼, 청와대도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미일 정상회담 후 바이든 대통령이 다른 나라 정상과도 통화를 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지나치게 확대해석할 필요는 없다는 얘기도 나온다. 과거 우리와 비슷한 순서였던 호주나 이스라엘 정상과도 통화하지 않았다는 점도 미국 쪽에서 정상 간 통화에 앞서 '당장 시급한 일'에 신경을 쏟고 있다는 증거라는 설명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