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형일자리 LG화학 구체적인 계획안 나오지 않아
부산 군산은 신청 완료, 구미는 여전히 제자리 걸음
‘구미형 상생 일자리’가 노사민정 협약 체결 후 1년6개월째 검토만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구미보다 늦게 시작한 부산과 전북 군산이 벌써 사업신청을 마친 터라 구미시의 적극적인 추진 의지가 요구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9년 7월 광주에 이어 두 번째 지역 일자리 모델이 된 구미를 찾아 “일본의 수출 규제가 이어지고 있으나 우리는 할 수 있다”며 구미형 상생 일자리를 약속했다.
기획재정부도 지난 19일 ‘2021년 업무계획’에서 상생형 일자리 선정 현황을 발표하며 구미시와 부산시, 군산시를 ‘검토 대상’으로 분류했다. 정부에 따르면 부산과 군산은 이달 초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신청을 마쳤으나 구미는 LG화학의 구체적 계획안이 나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계속 미뤄지고 있다.
부산은 상생형 지역 일자리사업 지정에 필요한 노사민정 협약도 구미보다 7개월 늦었던 터라 구미시가 이 사업에 대한 절실함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당초 정부의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 확산방안’ 발표 이후 LG화학과 협의해 2차전지 양극재 생산공장을 유치하기로 합의했다. 구미형 일자리는 업계 평균 수준의 적정임금을 보장하면서 지자체가 입지·재정·금융을 지원해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는 사회 대통합형 일자리 모델이다.
이에따라 2019년 7월 LG화학이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을 구미에 짓고, 구미시는 행정과 재정을 지원하는 것으로 노사민정 협약을 체결한 것이다.
구미형일자리 사업은 LG화학이 2020~2024년 구미국가산업 제5단지 내 부지에 미래세대 2차전지 핵심 부품인 양극재를 연간 6만여 톤을 생산하는 공장을 짓기로 했다. 여기에 구미시와 경북도는 터를 장기 무상임대 해주고 수 백억원의 보조금과 세제혜택을 주기로 했다. 양극재 공장 직간접 고용 인원은 1,000여명이지만 LG화학은 아직 구체적 일자리 계획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구미시 관계자는 “LG화학이 아직 구체적인 계획안을 내놓지 않고 있어 고민"이라면서도 "실무적인 협의가 잘 진행되고 있어 늦어도 6월까지는 LG의 공식 입장이 나오면 모든 절차를 마무리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구미시보다 한 달 앞서 노사민정 협약을 체결한 밀양과 강원은 이미 상생형 지역 일자리사업으로 선정됐다.
이에대해 구미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1년6개월이나 되는 시간 동안 구미시와 LG화학의 협의가 잘 됐다면 이미 구체적인 계획이 나왔어야 한다"며 “구미의 기업 유치 시스템이 초보인데다 간절함이 없다는 이야기”라고 꼬집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