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들어 처음으로 근로자의 임금 불평등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가 취약계층 근로자에 집중되면서 'K자 양극화'가 촉발됐다는 분석이다.
24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지역별 임금불평등의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근로자 임금의 지니계수는 0.306으로, 2019년(0.294)보다 0.012 증가했다. 임금불평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분배지표인 지니계수는 0~1 사이의 값으로 표현한다. 분배가 완전평등하면 0, 완전불평등하면 1이다.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정도가 높다는 의미다.
임금 지니계수는 2016년 0.335였으나, 문재인 정부 첫 해인 2017년 0.317로 떨어졌다. 이후 2018년 0.309, 2019년 0.294로 하락세를 이어갔으나 지난해 처음 반등했다. 지역별로도 임금불평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강원(0.294), 울산(0.294), 세종(0.287) 3곳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지니계수가 확대됐다. 그 중에서도 인천(0.295), 제주(0.301), 충남(0.295), 대구(0.298) 순으로 임금불평등이 심해졌다.
보고서를 작성한 조민수 고용정보원 연구원은 "근로자의 임금불평등은 코로나19 확진자 수 증가와 이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재택근무가 가능한 일자리가 적고 관광, 레저, 숙박 등 대면 서비스의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 임금불평등이 커졌다"며 "코로나19가 지역적 집단발생과 연관성이 높은 만큼 지역별 고용 대책과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성별, 교육 수준별, 연령대별로 살펴봐도 '중졸 이하'를 제외한 모든 계층에서 2019년 대비 2020년 약 0.01 이상 지니계수가 증가했다. 특히 29세 이하 청년층과 고졸 학력 집단의 경우 전년도에 비해 2020년 지니계수가 각각 0.017, 0.016 증가해 불평등이 상대적으로 크게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