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AI에 대한 기업체 인식 및 실태 조사
국내 기업 절반이 약 20년 뒤에는 인공지능(AI)이 회사의 직무와 인력 절반 정도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현재 AI 기술을 도입한 회사는 전체의 3.6%에 그쳤고, AI 기술을 도입하지 않은 회사 대부분도 기술 도입에 회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에 대한 기업체 인식 및 실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종업원 20인 이상인 기업 중 대기업ㆍ중견기업 500개사와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한 기업 중 50.1%가 AI가 직무를 대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들은 9.1년이 지나면 직무의 20%를 대체할 수 있으며, 직무 절반을 대체하는 데는 20.2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AI가 기존 인력을 대체할 수 있다고 전망한 기업은 48.8%다. 인력의 20%를 대체하는 데는 9.2년, 절반 이상을 대체하는 데는 20.7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AI 도입으로 가장 큰 파급효과가 있을 분야로는 △의료ㆍ건강(31.4%) △교통(19.4%) △통신ㆍ미디어(15.3%) 등이 꼽혔다.
하지만 국내 기업은 AI 도입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조사 대상 기업 중 3.6%(36개사)만이 "AI기술이나 솔루션을 도입했다"고 응답했는데, 대기업ㆍ중견기업이 이 중 91.7%(33개사)를 차지한다. 그나마 이들 기업도 기술을 개발하기 보다는 AI 기술이 접목된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주로 사용했다.
AI를 도입하지 않은 업체 중 89%는 "앞으로도 AI를 도입할 의사가 없다"고 답했다. AI기술을 도입한 회사 중에서도 추가로 AI 기술을 도입하겠다고 답한 비율은 38.9%에 그쳤다.
이들 기업이 AI 도입을 주저하는 이유는 이들 수요에 맞는 기술이 부족하고(35.8%), 개발비용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점(20.6%)이다. 이들은 AI를 도입할 때 가장 우려되는 사항으로 AI시스템이 만든 의사결정ㆍ행동의 법적 책임 문제(23.1%), AI가 잘못된 의사 결정을 할 가능성(21.6%) 등을 꼽았다.
KDI는 AI 서비스 생태계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민간이 선뜻 나서기 어려운 영역인 만큼 정부가 우선 투자를 한 뒤 민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민간 데이터 개발도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중해 KDI 경제정보센터 소장은 “AI 도입 여력이 없는 중소기업까지 포괄할 수 있는 범용 AI 기술이 필요하다”며 “정부가 AI 기반 조성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