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평형수와 생태계 교란

입력
2021.01.12 18:00
26면
0 0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대형 유조선들은 10만㎡까지 평형수를 주입하고 항해한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대형 유조선들은 10만㎡까지 평형수를 주입하고 항해한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1991년 1월 페루에 갑자기 콜레라가 발생했다. 콜레라는 남미 인접국으로 번져 수년간 1만여명을 희생시켰다. 감염원을 추적한 방역당국은 방글라데시 콜레라균을 이동시킨 게 평형수(ballast water)라고 지목했다. 한국 화학운반선 케미호를 나포한 이란이 느닷없이 이 평형수를 거론했다. 무단으로 평형수를 버려 해양오염을 일으켰다는 주장이다. 2013년에도 이란은 인도 유조선을 같은 이유로 나포한 적이 있다.

□이란이 핑계 삼긴 했지만 사실 평형수는 해양 생태계를 교란하는 침묵의 밀항자다. 화물을 내려 가벼워진 선박은 균형을 잡거나 추진력을 얻기 어렵다. 그래서 가령 울산항의 유조선은 바닷물을 좌우에 주입하고 항해, 페르시아만에선 이를 빼낸 뒤 원유를 선적한다. 여기서 주입, 배출하는 바닷물이 평형수인데 문제는 이때 동해의 조류 패류 어류와 페르시아만의 바닷물이 뒤섞인다는 점이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연간 평형수가 100억톤을 넘고 매시간 7,000여 해양생물이 뜻하지 않게 이동하는 걸로 추정한다.

□평형수의 교란은 코로나19가 인간에게 팬데믹을 일으키는 과정과 유사하다. 경쟁이 치열한 생태계에 적응한 종은 작은 생태계에선 석권하는 경향이 있다. 유럽산 엉겅퀴가 찰스 다윈이 놀랄 만큼 신대륙에서 엄청난 기세로 성장하고, 아즈텍의 100만 군대가 코르테스에 정복당한 배경에 천연두 바이러스가 있던 것과 마찬가지다. 실제로 동아시아의 미역, 다시마는 평형수에 섞여 미국 프랑스 호주 등 전 세계에 퍼져 있다.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으로 적응력이 뛰어난 탓에 각국은 손쓸 틈조차 없다.

□북미 오대호의 토종 홍합이 유럽산 얼룩무늬담치에 밀려나고, 북미 해파리가 북유럽 연안을 오염시키고, 중국 참게가 북미와 유럽 생태계를 위협하는 것도 평형수 때문이다. 다행히 2004년 평형수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이 발효되고, 우리도 엄격한 선박평형수관리법이 마련돼 있다. 그래서 설령 케미호가 평형수를 방류했다면 방제선부터 출동해야 하는데 그런 조치도 없었다는게 선사 측 반박이다. 이란이 재론하지 않는 걸 보면 나포 목적은 석유대금 70억 달러 등 따로 있는 게 분명하다.


이태규 논설위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