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부구치소 재소자들의 마스크 착용이 매우 불량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 와중에도 가장 기본적인 방역수칙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으로, 특단의 대책 없이는 교정시설 재소자 감염 확산을 막을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30일 익명을 요구한 서울시 관계자는 “현장에서 직접 봤을 때 재소자들이 마스크를 내리거나 턱에 걸치고 있는 등 착용 상태가 상당히 불량했다”며 “마스크를 아무리 많이 지급한다 하더라도 그 같은 수준의 착용이라면 마스크에 기댄 방역은 기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법무부가 지난 28일 “전국 교정시설 방역강화 지시(11월30일)에 따라 수용자 입소 시 ‘KF80 이상 마스크 지급 및 구매 허용’했다”고 밝혔지만, '마스크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지난 16일 이후 모두 두 차례 역학조사를 위해 구치소 내부로 들었다. 동부구치소에서는 14일 처음으로 수용자 확진 사례가 나왔다.
역사조사관으로 현장 조사에 참여한 이 관계자는 또 “현장 교정직원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요구해도 수용자들이 잘 안 쓴다’는 얘기까지 들었다”며 “그 말이 사실이라면 교정시설에 맞은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1인실을 이용한 격리 등이 거론되지만 확진자들의 폭발적 증가로 현재로선 여의치 않다.
마스크 착용이 불량했던 재소자들의 양성률은 비교적 마스크를 적절하게 착용한 교정직원들의 양성률과 큰 차이를 보였다. 동부구치소 관련 누적 확진자 769명(28일 기준) 중 직원은 21명, 수용자는 721명이다. 동부구치소 확진자들이 다른 시설로 이감되기 전인 지난 18일 1차 전수조사 때 인원(직원 425명, 수용자 2,419명) 대비 확진율이 수용자(29.8%)가 직원(4.9%)보다 무려 6배나 높다.
직원들은 수용자보다 3주 가량 앞선 지난달 27일 최초 확진된 뒤 다른 동료로 전파가 이어졌지만, 양성률은 수용자보다 현저히 낮다. 아파트형 건물, 실내 위주 생활, 과밀 수용 등 코로나19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점을 고려하더라도 마스크 착용만 잘 관리됐더라면 ‘단일 시설 최대 감염’이라는 오명을 얻는 사태까지 악화하지는 않았을 것이란 이야기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마스크 착용시 예방효과를 대략 80% 정도로 본다”며 “수용자들이 방역효과가 있는 마스크를 철저하게 착용했다면 80%까지는 아니더라도 n차 감염 차단이나 확산 속도 둔화로 이렇게 대규모로 확산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부구치소는 확진자 이감과 재배치 이후 남아 있는 1,600여명에 대해 30일 4차 전수검사를 진행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