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내 온실가스 배출량 24.4% 감축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부문별 청사진을 제시하고, 10년 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24.4% 감축할 것이라고 공표했다. 탄소 중립이란 탄소를 배출하는 만큼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환경부는 15개 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과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정부안이 15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5년 채택된 파리기후변화협약(파리협정)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구 온도를 산업화 이전 대비 2°C 이하로 억제, 나아가 1.5°C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맺은 협정이다. 협정 당사국은 연내 이 두 가지에 관한 전략과 목표를 유엔에 제출해야 한다.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의 에너지 공급 부문에서는 화석연료 발전 중심의 전력공급 체계를 재생에너지ㆍ수소로 전환한다. 화석연료 발전은 이산화탄소 포집(CCUS) 기술과 연계, 재생에너지의 불완전성을 보충하는 전력원으로 바꾼다.
산업 부문에서는 수소 환원 제철·바이오 플라스틱 등 코크스(석탄에 열을 가해 가공한 연료)와 납사(나프타)를 대체할 수 있는 철강ㆍ석유화학 신기술을 개발한다. 공장·산업단지의 스마트화를 촉진하고, 재생원료의 사용률을 높인다.
수송 부문에서는 전기ㆍ수소차의 전면 대중화를 추진한다. 바이오 연료의 사용을 확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구축하고 자율주행차 보급을 확대한다. 화물운송체계는 저탄소 운송수단인 철도와 해운으로 바꾼다.
이 밖에 건물 부문은 녹색건물 전환과 신축을 활성화하고, 도시가스 의존도 감소를 위한 전기ㆍ수소 에너지원 기술보급 가능성을 검토한다. 농ㆍ축ㆍ수산 부문은 친환경 농축수산업 체계를 구축, 유통과정의 부산물은 산업 원료로 재활용한다. 산림, 갯벌, 습지 등 자연·생태 기반 강화로 탄소흡수 능력도 높인다.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17년 배출량 대비 2030년까지 24.4% 감축하는 것이다. 2015년에는 경제성장에 따라 가변성이 높은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으로 목표를 정했지만, 이를 국제사회의 신뢰가 높은 ‘절대량’으로 전환한 것이란 설명이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2050 탄소중립은 매우 큰 도전으로 결코 쉽지 않지만 인류의 생존과 우리나라의 한 단계 도약을 위해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며 “정부는 확실한 방향성과 자신감을 갖고 이행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