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1,000명 돌파에 “모든 방역 역량과 행정력을 집중해 코로나19 확산 저지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절체절명의 시간”이라고 호소했다. 하지만 의료·방역 전문가들 사이에선 'K방역의 성취'만 믿고 코로나19 3차 재확산에 기민하게 대처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비등하다.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도 일단 보류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 확산세를 꺾지 못하면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도 검토해야 하는 중대한 국면”이라며 "3단계는 마지막 수단"이라고 선을 그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중대본)를 주재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게 보통인데, 주말 확진자가 치솟자 12일 문 대통령이 주재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의 중대본 회의 주재는 지난 2월 이후 약 10개월 만이다. ‘전세계의 모범’이라 자찬한 'K방역'이 무너질 위기에 처하자, 문 대통령이 다시 나선 것이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K방역의 성패를 걸고 총력으로 대응해야 할 시점이다" "코로나19가 국내에 유입된 이래 최대 위기"라며 위기감을 드러냈다. 12일 페이스북에선 “(코로나19 확산으로) 송구한 마음 금할 수 없다. 불안과 걱정이 클 국민들을 생각하니 면목없는 심정”이라고 사과하기도 했다.
10월 이후 수도권에서 시작된 코로나 3차 확산세에도 거리두기 격상 등 방역 조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하지 않은 것은 경제 걱정 때문이었다. 그러나 경제와 방역을 모두 잡겠다는 욕심이 결과적으로 방역의 발목을 잡은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10월부터 한달가량 사회적 거리두기를 1단계로 유지하고, ‘소비 쿠폰’을 대대적으로 지급하는 등 경제 살리기에 방점을 찍었다.
소상공인·자영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정책 결정이긴 했지만, 방역이 무너지면 경제 전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소상공인·자영업자 피해를 정부가 사후 보전하는 유럽 방식이 대안으로 거론됐지만, 정부는 소비를 돌아가게 하는 데 우선 순위를 뒀다.
정부가 병상ㆍ의료인력 확충에 너무 늦게 나섰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정부는 코로나 확산 초기인 올해 2월 '감염병 전담 병상 1만개 확충'을 공언했으나, 10개월이 지난 현재 이 중 절반 정도만 확보했다. 2, 3월 대구를 중심으로 1차 대유행이 확산될 때 병상·인력 부족이 체감됐지만, 사후 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다.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11일 긴급 기자회견에서 “정부는 지난 여름부터 약 4개월간 중환자 진료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가을과 겨울의 코로나19 대유행에 대비한다고 하더니, 정부와 방역당국이 무엇을 한 것인지 정말 원망스러울 정도”라고 했다.
'백신 확보'도 기민하지 않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를 비롯해 글로벌 제약사 4곳에서 약 4,4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선구매를 완료한 곳은 아스트라제네카 1,000만명분 뿐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승인이 지연되면서 국내 접종계획도 불투명해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