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의료계 면역력 구축이 최우선
영국ㆍ프랑스는 요양 시설부터
인도는 "13억 전체 접종 불가능"
"한국ㆍ대만은 좋은 가격에 백신 구매 타진"
‘의료진과 요양원 환자, 고령자 등 고위험군은 신속하게, 상대적 저위험군 대상 의무화는 신중하게.’
각국의 사정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이런 원칙은 일반적이다. 그럴 수밖에 없다. 단시간에 어떻게든 면역률을 높여야 하는 정부 측과 안전이 보장될 때까지 기다렸으면 하는 개인 간 이해관계가 다르고, 국민에겐 선택권이 있기 때문이다. 나라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전략 이야기다.
최근 미국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40개국 정부의 코로나19 백신 공급 계획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가 의료서비스 종사자와 고령자를 우선 접종 대상으로 분류해 놓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 그렇다. 미국의 경우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전문가 자문위원회가 의료계 종사자 및 요양원 환자에게 백신을 가장 먼저 접종해야 한다고 보건 당국에 권고했다. 미국 전체 인구 3억3,000만명 가운데 이 그룹은 2,400만명이다. 특히 의료계 종사자들이 면역력을 가져야만 급증하는 환자들을 제대로 치료하고 질병 확산 사태를 국가가 통제해 나갈 수 있다는 게 자문위 판단이었다.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상황임을 감안해 서둘러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대중 보급 전 미리 백신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데에도 이들의 희생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대표적으로 일본 후생노동성은 백신 공급 초기 동의하는 의료계 종사자 1만여명을 대상으로 먼저 접종해 건강 상태를 일정 기간 확인하는 방식의 안전성 검증을 계획 중이다.
희생을 줄이는 데 먼저 방점이 찍히기도 한다. 영국ㆍ프랑스는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과 직원이 최우선 대상이고, 일반 고령층과 의료진은 그 다음이다.
그러나 위험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계층까지 대상 범위를 확대하는 일은 쉽지 않다. 백신 부작용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독일인 2,000여명을 대상으로 5월 진행된 한 여론조사를 보면 응답자 중 자발적으로 백신 접종을 희망하는 비율이 49%에 불과했다. 캠페인을 벌이겠지만 백신 접종을 의무화하지 않고 국민의 선택에 맡기겠다고 이탈리아 정부가 강조하는 것도 이런 불신을 의식해서다.
인구가 많은 국가의 경우 제한된 물량도 걸림돌이다. 인도가 대표적이다. 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접종할 수 있다고 자신하는 델리 주(州) 정부와 달리, 연방 정부는 13억8,000명 전 인구를 커버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여기는 기색이다. 브라질도 전체 주민 4,500만명 대상 접종을 의무화하겠다는 방침인 상파울루 주와, 그럴 수 없다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의 입장이 엇갈린다.
불신을 누그러뜨리는 유인책은 무료 접종 및 정부의 부작용 피해 보상이다. 일본이 얼마 전 통과시킨 예방접종법 개정안은 접종 비용 전액을 국가가 부담하고 접종 뒤 피해를 겪는 사람에겐 정부가 의료비와 장애연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대부분 다른 나라도 비용 장벽을 없애는 식의 인센티브를 도입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최대한 저렴한 가격에 국가가 백신을 구매해야 한다. 코로나19 통제에 비교적 성공한 한국과 대만 정부의 경우 구매를 서두르는 대신 좋은 가격에 백신을 사들이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고 폴리티코는 분석했다. 러시아ㆍ중국은 싼 가격을 자국 업체가 개발한 백신의 경쟁력으로 홍보하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