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뉴딜' 선언 후 4개월... 현주소는
AI 개발 필수 데이터, 대규모 구축·개방 사업
현대차, 데이터 공개·수소전지 시스템 공유
새로운 대한민국의 미래를 제시하는 '한국판 뉴딜'의 청사진이 나온 지 약 4개월이 지났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7월 14일 국민보고대회를 통해 한국판 뉴딜 추진 계획을 직접 발표하면서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탄소 의존 경제에서 저탄소 경제로, 불평등 사회에서 포용 사회로 대한민국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양대 축으로, 이를 고용 및 사회안전망 강화로 뒷받침하겠다는 건국 이래 최대 규모의 투자가 이뤄지는 국가 프로젝트다. 정부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국비 114조원을 투자하고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재원까지 포함해 약 160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190만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의 실행을 위한 10대 대표 과제로 △데이터 댐 △인공지능형(AI) 정부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스마트 그린 스쿨 △디지털 트윈 △스마트의료 인프라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그린 에너지 △스마트 그린 산단 △그린 리모델링 등을 선정했다. 이 가운데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의 핵심 사업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댐'과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한국판 뉴딜의 방향을 되짚어보고 현주소를 살펴봤다.
데이터는 모아야 힘
디지털 뉴딜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생태계 구축에 방점을 찍고 있다. 이 중에서도 AI 발전의 핵심인 데이터를 구축하고 개방하는 이른바 데이터 댐을 만들겠다는 계획이 디지털 뉴딜의 핵심이다.
AI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선 양질의 데이터가 필수인데 이를 댐처럼 한곳에 모은 게 데이터 댐이다. 물이 댐에 모여 방류되듯 여러 곳에서 생산된 데이터를 제대로 수집·분류·가공해 혁신 산업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판매·서비스하는 기업 더비즈온 송호철 상무는 "따로 있을 땐 아무 의미가 없던 데이터도 합쳐지면 큰 의미를 지니는데 우리나라는 데이터가 분산돼 AI 발달에 장애가 되고 있다"며 "소양강댐에 물을 모았다가 필요할 때 쓰는 것처럼 분산된 데이터를 모으고 관리해 필요한 영역에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데이터 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데이터 댐을 만들기 위한 데이터 수집·구축 관련 사업은 일자리 창출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데이터 정제·가공 작업에는 사람의 노동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미 AI 개발에 필수적인 학습용 데이터를 대규모로 구축·개방하는 사업에 돌입했다. 지난 달부터는 크라우드워커(데이터 수집·가공 업무를 하는 작업자)의 전문성을 키우기 위한 기본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이런 데이터 수집 업무에 대해 '알바형 단기 일자리'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정부는 디지털 뉴딜 정책이 본격화하면 일자리 양상이 많이 달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930년대 미국이 '후버 댐' 건설로 대공황을 극복한 것처럼 데이터 댐으로 국가의 디지털 대전환을 이끌고 일자리도 만들겠다는 정부의 담대한 구상이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낼지 관심이 모아진다.
차 부품 기업까지 미래차 사업 전환
그린 뉴딜에선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가 핵심 사업으로 꼽힌다.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 2025년까지 투입되는 사업비가 20조3,000억원으로 10대 대표과제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세계 미래차 시장 선점을 위해 전기차와 수소차 보급을 확대하고 노후 경유차와 선박의 친환경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는 게 골자다.
정부는 2025년까지 승용· 버스·화물 등 전기자동차를 113만대(누적 기준) 보급하고 충전 인프라(급속충전기 1만5,000대, 완속충전기 3만대)를 확충할 방침이다. 수소차도 같은 기간 20만대 보급, 충전 인프라 450대 설치가 목표다. 노후 경유차에 대해선 액화석유가스(LPG)· 전기차 전환이나 조기 폐차를 지원하고 노후 관공선과 함정, 민간 선박의 친환경(LNG·하이브리드 등) 전환이나 매연저감 장치(DPF) 부착에도 대규모 사업비가 투입된다. 정부는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만 15만1,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월 현대차 울산공장을 찾아 "미래차 보급에 좀 더 속도를 내겠다"고 공언했다. 문 대통령은 구체적으로 2027년 세계 최초로 레벨4(조건부 완전자율주행) 수준의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할 것이란 목표까지 재확인하면서 이를 위해 "사업재편지원단을 만들어 2030년까지 1,000개의 자동차 부품기업이 미래차 사업으로 전환하도록 돕겠다"고 약속했다.
정부 기조에 발맞춰 현대차그룹도 2025년까지 자율주행 부문에 총 4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화답했다. 현대차를 포함한 국내 기업들의 자율주행차 관련 투자 계획은 60조원에 달한다. 현대차그룹은 사실상의 영업 비밀이었던 각종 차량 데이터를 스타트업에 공개해 미래 모빌리티 협업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세계 최고 기술력을 인정받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도 국내 중소·중견 버스 제작사에 공급할 계획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