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삼성 계열 금융사들이 12일 ‘탈석탄’ 선언 대열에 동참했다. 이들 금융사는 앞으로 석탄 화력발전소에 대한 투자·융자뿐만 아니라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 목적 회사채에도 투자하지 않기로 했다. 한국투자증권과 한화증권은 지난 8월, KB금융지주는 9월 탈석탄을 선언했다. 석탄화력발전소를 건설해 온 삼성물산과 한국전력도 ‘탈석탄’을 선언하고 석탄발전소 신규 건설을 중단하기로 했다. 금융사와 건설 발전회사들의 이런 움직임은 우리 정부가 약속한 ‘2050년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의미 있는 결정이다.
기업들의 탈석탄 선언은 영국 노르웨이 핀란드 등의 연기금과 기관투자자들이 베트남 석탄발전소 건설에 참여하지 말라고 압력을 행사하는 등 강경해진 국제 사회의 탄소 중립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 특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내놓은 탄소세 도입 공약은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미국은 온실가스 감축에 소홀한 나라의 수출 상품에 탄소세를 부과할 방침인데, 그 세율은 '기업이 화석연료 사용을 포기할 정도로 대담하게 책정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유엔이 발표한 2020년 기후변화대응지수(CCPI)에서 조사대상 61개국 중 58등에 그칠 만큼 낙후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한 미국 탄소세의 주요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다.
지구온난화를 저지하기 위한 노력은 이제 기업 생존의 필수 조건이 됐다. 그런 점에서 한전과 삼성물산이 진행 중인 베트남 붕앙, 강릉 안인화력발전소를 계속 짓기로 한 것은 아쉬운 결정이다. 당장의 이익을 위해 국제사회에 ‘기후 악당’ 오명을 남겼을 뿐 아니라 향후 탄소 배출이 초래할 막대한 사회ㆍ경제적 비용을 외면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단기적 비용 상승 부담 때문에 친환경 투자에 소극적인 기업들이 ‘탈석탄 선언’에 대열에 동참하도록 적극적인 정책을 펼쳐야 한다. 우선 내년부터 시행되는 제3차 배출권거래제의 배출권 할당량을 줄이는 것부터 검토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