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기업경영, 환경ㆍ사회ㆍ 지배구조(ESG)에 달렸다

입력
2020.10.27 04:30
25면
0 0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연초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미국 블랙록의 최고경영자(CEO) 래리 핑크가 주요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들에게 보낸 연례 편지가 큰 화제를 모았다. 투자 결정 시 지속 가능성과 기후변화 리스크, 곧ESG(Environment, Society, Governance, 환경?사회?지배구조) 요소를 기준으로 삼겠다는 것이 골자였다. 유럽연합(EU)은 내년 상반기 중 ‘유럽 그린딜 법안’을 마련하고 오는 2023년부터 시행에 돌입한다. 2050년까지 탄소순배출량 제로 달성을 위해 탄소국경세 부과, 내연기관 차량 판매 금지 등 다양한 규제에 나설 방침이다.

명실상부한 ESG 시대다. 기업이 돈을 벌어도 ESG 관리에 실패하면 자본 이탈 등으로 생존을 위협받게 됐다. 지난해 미국 석유회사 엑손모빌은 온실가스 감축을 촉구하는 주주 결의에 반발했다가 투자자들이 주식을 내다팔면서 주가가 1년 새 반 토막이 났다. ESG에 대한 전 지구적 관심과 사회적 압력은 기업에 위기인 동시에 좋은 기회이다. ‘지구의 에너지 문제 해결’을 기업 목표로 내걸고 전기차, 태양광 발전 사업 등을 하는 미국 테슬라는 올해 글로벌 1위 자동차 기업인 도요타 시가총액을 넘어섰다. 덴마크의 대표 석유회사 올스테드는 해상풍력 글로벌 시장점유율이 30%가 넘는 친환경에너지 회사로 탈바꿈 해 1년 새 주가가 두 배 가까이 뛰었다.

국내 기업들도 ESG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그룹의 행보가 가장 눈에 띈다. 최태원 회장이 주도해 온 사회적 가치 추구 경영에 발맞춰 최근 4년간 배터리, 순환경제 등 ESG 영역에 6조원 이상을 투자했다. SK㈜는 지난 4월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MSCI)의 ESG 지수 평가에서 한국 기업으로는 최고 등급인 AA를 받았다. 삼성전자는 내년부터 반도체 부문 사업장 평가에 ESG 기준을 도입할 방침이다. 포스코는 최근 ESG 채권을 발행해 신재생 에너지 분야 등에 대한 투자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EU와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우리 정부와 기업의 ESG 대응은 아직 더디다. 탄소 배출 관리, 친환경 제품 개발, 근로환경ㆍ인권 개선, 안전관리 등 분야에서 글로벌 스탠더드에 뒤처져 있다. 우선 정부가 ESG를 국가적 의제로 삼아 기업의 ESG 경영과 투자가 활성화할 수 있게 법적·제도적 인프라를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기업마다 제 각각인 ESG 정보 공개 기준을 마련하고, 투자자들이 쉽게 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기업들도 최고경영자부터 일반 사원까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ESG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추진 전략과 로드맵을 짜야 한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실행력이다. CEO의 강력한 리더십 발휘와 함께 이사회 내 ESG 관련 위원회 설치 등을 통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곽수근 서울대 경영학과 명예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